-
곽낙현2020東洋古典硏究이 연구의 목적은 정조가 왕권 강화를 위해 1793년(정조 17)에 설치한 친위 군영인 장용영의 연혁과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시행규칙 내용을 정리한 『장용영대절목(壯勇營大節目)』의 구성과 자료적 가치를 검토하 는 것이다. 이에 대한 종합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장용영 관련 기록은 『장용 영고사(壯勇營故事)』 8책, 『장용영대절목(壯勇營大節目)』 3책, 『장...
-
백승호2013본 논문은 正祖時代 정국을 주도하던 인물들이 정치담론을 형성하는 데 활용한 글쓰기에 관한 연구이다. 정조시대에는 君臣 간의 글쓰기를 통한 정국운영이 활발했고, 나아가 각 정파 사이의 정치담론 경쟁 또한 주도면밀하게 이루어졌다. 문치국가인 조선에서 정국을 주...
-
김현옥2009漢文學論集本稿에서는 요순의 태평성대를 자신의 治世에 재현시키고자 했던 군주인 정조의 人材觀을 그의 개인 문집인 『弘齋全書』에 수록되어 있는 「策問」을 통해 살펴보았다. 책문은 어려움에 처해 있는 국가의 문제를 소통시킬 수 있도록 과거를 통해 세상에 첫발을 내딛는 젊은 인재들에게 해결책을 구하는 수단이었다. 책문은 당대의 碩學들이 출제하기도 하지만 출제자는 임금이라는 형식을 띤다. 따라서 책문 속에는 그 출...
-
조융희2008장서각이 논문에서는 조선후기에 '풍천(風泉)'이 조선 고유의 문학적 술어로 관습화되는 과정을 구명하였다. 『시경(詩經)』의 「비풍(匪風)」과 「하천(下泉)」을 축약하여 만들어진 '풍천'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조선이 명을 높이고 청을 배척하고자 하는 정치적 논리를 마련하는 가운데 탄생된 신조어였다. 이 술어에 대한 검토는 조선 특유의 역사적 국면이 문학적 전개 양상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데 중요...
-
김문식2007한국문화연구This paper was written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 data of Kukjo oryetongpyeon which remains the only book in Ehwa Womans University Libr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