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정호2018한국지역문학연구글쓴이는 최치원의 한시 속에 나타난 인물과 문화교류 현상, 특히 그가 한시로 형상화한 인물들에 초점을 두고, 그의 학제·학문적 교류, 행정·외교적 교류, 이념·사상적 교류, 그리고 인륜·사회적 교류 체험을 중심으로 따져보았다. 첫째, 최치원은 당나라 유학시절 7년 동안 학문에 열중하면서 많은 문사들과 교분을 맺었다. 이를테면 오만, 양섬, 전인의, 장교, 오첨, 고운 등과 시적 교감을 나누었던 것...
-
손성필2014불교학연구조선시대 불교는 상대적으로 주목 받지 못하였고 연구도 부진하였다. 이는 근대기에 형성된 조선시대 불교의 부정적 역사상, 교학 발달사 중심의 불교학 연구경향, 단선적 사회발전론에 치우친 역사학 연구 경향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사실 조선시대 불교...
-
김상일2013한국선학조선전기 사대부들의 불교 담론은 上疏[奏議], 辨說, 記, 序跋 형식 등의 한문양식을 통해서 형성 되었다. 이 글은 이 가운데서 주로 序에 속하는 贈序文에 보이는 불교 인식을 살핀 것이다. 특히 당 시 집권층에 속하면서 정치와 외교 등의 국가의 문장을 담당...
-
오국진2010The object of buddhistic training in Koryo period was to discover the true self of each individuals oneself. It was an extremely difficult cour...
-
김상일2005한국문학연구이 글은 崇儒排佛의 정책적 기조가 강제되던 조선전기에 儒家士大夫로서 불교 세계를 지향했던 金守溫(1409~1471)의 시세계를 살펴본 것이다. 김수온은 性理學[新儒學]을 지배이념으로 삼은 조선전기의 유가사대부였다. 따라서 그는 유교적인 의식과 규범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