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보현2019비교일본학본고는 한반도에서 간행된 일본어 민간신문에 실린 문예물 중 일본의 전통시가 장르인 하 이쿠에 초점을 맞춘 연구이다. 지금까지 일본어 신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하이쿠는 ‘화 조풍영’ 중심의 구작을 중심으로 분석되어 왔으며, 그 의의는 ‘친목’과 ‘재한일본인들의 동질 성’, ‘취미’로만 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신문에는 다양한 양식들의 하이쿠 란이 존재하였는 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신문을 기반으...
-
이화정2013평화학연구이 연구는 재한일본인의 문화적응 모형을 개발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문화적응 유형의 도출과 다문화 적 수용태도를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재한일본인들은 베리(Berry, 1997)의 문화적응 유형 중 제3유형, 즉 동화유형으로 개인이 한 국사회와의 관계를 긴밀히 유지하지만 일본의 문화적 정체성과 특성을 포기하는 유형, 제4유형, 즉 통합유 형으로 한국사회와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일본문화의 문...
-
박찬교2013역사교육연구이 글의 목적은 조선총독부 검정 『신찬대일본제국사략』의 서술을 분석하여 1910년대 중등일본사 교과서에 담긴 역사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신찬대일본제국사략』은 식민지 조선에 특화된 교과서의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한일 교류가 활발했던 고대사와 근대사 부분에는 한국사가 일본사 속에 편입되어 있지만, 나머지 시대는 한국사와 일본사의 이원적 구성을 갖추고 있다. 게다가 한국 관련 내용의 비중은 ...
-
허성태2012동북아연구이 연구의 목적은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 이후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동부이촌동 일대에 일본인집거지가 형성되게 된 배경과 일본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하는 과정을 통해 재한일본인들의 디아스포라적 문화의 특성을 고찰하는데 있다. 먼저 기존의 문헌연구를 통하여 그 동안 국내외에서 진행된 재한일본인 연구를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현재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재한일본인들을 대상으로 심층면...
-
이양숙2012한국문학이론과 비평In the late colonial period, Lee, Hyo-seok wrote the novel in Japanese. He thought he could find a way out of difficulties confronting Korean l...
-
황선익2010한국학논총식민지시기 한국을 살다 간 일본인들에게 ‘敗戰’은 한국인보다 더욱 갑작스러웠다. 한국사회의 주류로만 살아온 在韓日本人에게 패전의 경험은 쓰라리게 기억되었으며, 그러한 기억은 구술과 문헌기록 등 각종 자료로 남았다. 그 대표적인 자료인 『朝鮮終戰の記錄』애는 미소의 틈바구니 속에서 계속되는 혼란, 한국인․일본인 간의 미묘한 갈등구조가 ‘실증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종전의 기록』의 저자이자 편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