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황 ․ 정언지 ․ 이노 ․ 김정목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안황(安滉)을 돈령부도정에, 정언지(鄭彦智)를 한성부 좌윤에, 이노(李輅)를 한성부 우윤에, 김정목(金庭睦)을 호조정랑에 제수하였다.
-
사간원이 안황에 대한 가자를 개정하기를 청하다.
사간원이 안황(安滉)에게 가선대부를 가자해 준 것을 개정할 것을 잇달아 아뢰니, 상이 일렀다.
“난리가 일어난 초기에 조사(朝士)들에게 말할 수 없는 일들이 많았다. 안황은 독자로서 편모를 버리고 처자를 돌보지 않고서 통곡하며 거가를 호종하여 온갖 고난…
-
사간원이 전주를 지킨 이정란을 논상할 것과 김수 ․ 안황 ․ 조인득의 잘못을 논하다.
사간원이 회계하였다.
“전주(全州)의 성을 온전히 지킬 수 있었던 것은 이정란(李廷鸞)의 공로인데 그에게 부정만을 제수하고 별도로 특별한 상전이 없었으며, 전 경상감사 김수(金睟)는 변란이 일어나던 초기에 왜적을 피하여 전라도 운봉…
-
안황이 호종을 잘한 일로 그 아들 안응원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비망기로 일렀다.
“사옹봉사(司饔奉事) 안응원(安応元)의 아비 안황(安滉)은 임진년 처음 난리가 났을 때 집을 버리고 호종하여 온갖 고생을 겪다가 불행히 환도하기 전에 중도에서 죽었으므로 내가 항상 애통해 하고 측은하게 여겼다. 응…
-
공신들의 명칭을 호성공신, 선무공신, 청난공신으로 3등급으로 나누다.
공신들의 명칭을 정하여 대대적으로 봉했는데, 서울에서 의주까지 시종 거가를 따른 사람들을 호성공신(扈聖功臣)으로 하여 3등급으로 나누어 차등이 있게 명칭을 내렸고, 왜적을 친 제장과 군사와 양곡을 주청한 사신들은 선무공신(宣武功臣)으로 하여 3등급으로 나누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