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호빈2017이 연구는 한국 현대시론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한 역사적 ‧ 비평사적 고찰이다. 한국문학사에서 근대적인 시론의 등장은 1910년대, 나아가서는 그 이전까지로 소급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해방을 기준으로 하여 근대와 현대를 나누는 역사학계의 일반적 관점을 채택하여 시대를 구분하고 그 가운데서도 해방기부터 1950년대 후반까지 이루어진 시에 관한 담론을 한국 현대시론의 ‘형성’과...
-
장회식2016한일관계사연구이 글은 태권도학계에서 과거 수십 년 동안 논란이 되어온 우리 고유무술이 태권도로 발전했다는 ‘전통주의 역사관’과 태권도의 원류가 일본 가라데였다는 ‘수정주의 역사관’에 대한 비판적인 의문을 바탕으로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표류민들이 유구(오키나와)에 표착한 후 무술을 가르친 흔적과 이들의 영향을 받은 오키나와인들이 일본 본토에 가라데를 보급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오키나와 가...
-
차승기2010한국근대문학연구이 글은 식민지/제국 말기 ‘근대=서양’ 비판의 헤게모니 담론으로 ‘동양론’이 생산되던 시기 ‘동양적인 것’의 권리 주장이 식민지 조선의 문학적 영역에서 이해되고 재생산되던 맥락을 고찰하고자 했다. 흔히 전통주의적 지향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되는 잡지 『문장』을 검토함으로써, 조선적인 것의 긍정적 정립이 시도될 때 그것이 동양적인 것과 어떤 역학관계에 놓이게 되는지를 주로 살펴보았다. ...
-
차승기2003본 연구는, 1930년대 후반 다양한 전통 담론들이 출현하고 논의되던 과정을 고찰하고, 그 담론의 구조와 성격을 역사적 맥락으로부터 규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불변성, 고정성, 안정성, 동일성, 권위, 위신, 정통성 등에 대한 연상을 수반하는 전통은, 단순히 자연적인 시간의 흐름을 통해 이월되는 것이라기보다는 그것과의 관계를 통해 주체의 위치를 확립하고자 하는 의식에 의해 대상화된다. 즉, 전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