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옥경2022美術史論壇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production case of ‘Chulcheodo’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discuss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
-
이승진2021일본학이 연구는 1945년 8월 15일부터 한일협정이 체결된 1965년까지의 시기를 대상으로 삼아, 일본 신문의 재일조선인 관련 기사 자료에 주목하여 그 전체상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전후 일본의 신문 미디어는 다양한 이념 지형과 한반도의 분단이라는 역사적 사건, 그리고 GHQ의 검열과 정치 환경의 변화 같은 요인들에 영향을 받으면서 출발한다. 일본의 언론 자유를 회복한다는 명분 아래 연합국사령부가 ...
-
고은미2019본 연구는 자이니치를 테마로 한 오시마의 영화들을 통해 밀접하게 관련된 두 가지를 해명하고자 한다. 하나는 오시마의 초기 다큐멘터리가 정치적․윤리적 올바름을 목표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타자 표상의 외설성과 폭력성을 내재하고 있음을 밝혀내는 작업이다. 이들 영화 속에서 오시마는 이미지적 포섭 혹은 언술적 호명의 방식을 통해 타자를 주체 앞으로 소환하고자 하는 욕망을 드러낸다. 하지만 오시마는 ...
-
함충범2019본 논문에서는 조선영화계에서의 일본인의 활동상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한다는 기본적인 연구 목적 하에, 조선영화와 일본인의 다음과 같은 크게 네 가지 측면에서의 관계 양상을 실증적으로 탐구하였다. 첫째, 조선영화의 제작, 담론, 창작 주체로서의 일본인의 존재성에 주목하였다. 우선, 조선영화의 제작 과정에서 일본인의 비중과 역할이 어떠하였으며 이에 따라 해당 시기 조선영화에 어떠한 작품 ...
-
이가혜2019本稿は、植民地時代に朝鮮に居住していた日本人花柳界女性、すなわち在朝日本人花柳界女性を主な研究対象に花柳界を中心にする在朝日本人社会に存在していたジェンダー模様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さらに、本研究は在朝日本人を対象とした日本語メディアの記事、文芸作品、そして娯楽や広告のための視覚資料などを包括的に考察し、在朝日本人社会における花柳界女性の表象について研究するものである。また、本稿では活動時期によって遊女/女給という名称で分けられて、研究されて...
-
엄인경2016비교일본학이 논문은 1935년 간행된 한반도 최대의 가집 『조선풍토가집』에서 식민지 ‘조선’의 수도 경성이 어떻게 ‘조선색’의 풍토로 위치하고 표상되며 역사 기억을 어떠한 방식으로 내재하는지 고찰한 것이다. 일본인과 조선인, 전근대와 근대, 조선의 전통과 외래의 문물이 혼합된 거대한 용광로 같은 공간 서울이라는 대도시에 잠복한 과거 서사와 일본인들의 역사기억을 살펴보고자 했다. 경성의 ‘풍토’는 ‘내지’에...
-
조강석2015한국시학연구이 논문의 의도는 시 텍스트 연구에 있어 텍스트 중심의 형식주의적 접근법과 문화? 제도 연구에 기반한 접근법을 접속시킬 수 있는 장소를 텍스트 내부에 지정하고 이를 통해 시 텍스트를 ‘내부로터의 외부로 전개’시키기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시 이미지에 대해 새롭게 주목하고자 한다. 시 연구에 있어 각별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미지 연구는 한동안 새로운 관...
-
한세정2015한국시학연구이 논문은 해방기 오장환 시에 나타난 예세닌 시의 수용 양상을 살피고 그것이 그의 시 세계에 미친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방 직후 오장환이 번역한『에세-닌 시집』은 해방기 오장환의 시적 모색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창작시집보다도 먼저 간행된『에세-닌 시집』은 오장환이 ‘해방기’의 특별한 역사적 인식 아래서 기획적으로 번역한 창작물로 주목된다. ‘러시아 혁명’과 ‘식...
-
목수현2014동아시아 문화연구근대기 외국인들의 눈에 한국의 대표 이미지로 보였던 숭례문, 경회루, 황궁우는 조선시대에서 대한제국기에 이르기까지 도성 문, 궁궐의 누각, 원구단의 주요 건물로 세워진 것이다. 그러나 개항과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그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 숭례문은 한양 도성의 대표적인 문으로, 외국인들에게 한양의 표상에서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꼽혔으며, 수많은 기행문에 기록되거나 사진이 수록되었다...
-
정하늬2014본 논문은 일제 말기의 소설에 주로 ‘청년’인 주인공들이 등장하고, 이들이 전시체제와 파시즘이라는 시대적 상황이 요구하는 제국의 이데올로기적 청년상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식민지 조선의 ‘청년’이 일제 말기 문학에서 어떻게 표상되는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이 시기 소설에서 등장하는 청년상을 추출해 내고, 이 청년들의 정체성 확립 과정을 통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