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호2021민속학연구This paper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at practical wisdom can be gained from past epidemic control while experiencing the Corona Pandemics to...
-
신상후2021고전번역연구One Hundred Selected Letters from Zhu Xi by Jeongjo(Hereafter Hundred Letters) is, as the title reads, a collection of 100 letters that Zhu Xi ...
-
박용만2021장서각정조는 『홍재전서』에 430편의 哀祭類 산문을 많이 남기고 있는데, 이것은 조선시대 국왕 중에서 매우 이례적인 경우이다. 특히 애제류 산문에서 신하에게 내린 치제문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그의 문학적 성격뿐만 아니라 당시 정치적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장서각에 소장된 정조의 100여 편의 치제문은 『홍재전서』를 비롯한 기존의 역사자료가 가지지 못한 자료적 완정성을 보인다는 점에...
-
정병설2020장서각1762년 영조가 아들 사도세자를 죽인 이른바 임오화변은 조선시대 정치사에 가장 뜨거운 논란을 불러온 사건이다. 이것을 잘 알면 조선 정치의 역학을 잘 읽을 수 있는데, 중요한 사건인 만큼 이견이 적지 않다. 이견을 대표하는 자료로 『한중록』과 「현륭원지」를 들 수 있는데, 두 문헌은 임오화변의 해석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 역할을 했다. 『한중록』은 사도세자의 사인을 사도세자의 광기와 영조를 향한 ...
-
조인수2020불교미술사학Kim Hongdo(1745-after1806), the most celebrated of court painters in the eighteenth century Korea, excelled in painting on a wide range of subj...
-
김남일2019韓國史學史學報The reason why Seo Myeong-eung published the Zizhitongjiangangmu sanbian is related to which books to read the history of the Ming Dynasty in G...
-
박선이2018民族文化硏究정조는 문체정책의 일환으로 과거문장을 통해 파격을 추구하던 당시의 문체를 새롭게 변화시키려 하였다. 그 과정에서 초계문신과 성균관 유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과거의 시행 경위·방목·시권들을 수록한 科文集을 편찬할 것을 명하였다. 지금까지 정조의 문체정책과 그 배경에 대해서는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다양한 방면에서 상당한 연구가 진행·축적되었다. 하지만 문체정책의 실제 양상과 궁극적 지향점을 엿볼 수 있...
-
김현옥2008漢文古典硏究策問은 漢 武帝 때 지방수령들의 추천으로 뽑힌 인재를 임용하려고 대책을 물은 데서 유래했다. 그 후 정치나 학문, 사회 관습 등 전반에 걸친 현안문제를 과거에서 출제하여 세상에 첫발을 내딛는 젊은 인재들에게 해결책을 구하는 하나의 형식이 되었다. 그러므로 책문은 그 시대에 가장 중요한 일인 時務를 제시하는 핵심이 된다. 물론 출제의 주체는 임금이다. 따라서 책문 속에는 그 출제의 주체인 임금의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