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창수2022韓國行政硏究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King Jeong-jo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modern President of Roh Moo Hyun, who pursued state reform ...
-
정병설2020장서각1762년 영조가 아들 사도세자를 죽인 이른바 임오화변은 조선시대 정치사에 가장 뜨거운 논란을 불러온 사건이다. 이것을 잘 알면 조선 정치의 역학을 잘 읽을 수 있는데, 중요한 사건인 만큼 이견이 적지 않다. 이견을 대표하는 자료로 『한중록』과 「현륭원지」를 들 수 있는데, 두 문헌은 임오화변의 해석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 역할을 했다. 『한중록』은 사도세자의 사인을 사도세자의 광기와 영조를 향한 ...
-
조인수2020불교미술사학Kim Hongdo(1745-after1806), the most celebrated of court painters in the eighteenth century Korea, excelled in painting on a wide range of subj...
-
김지현2017서울학연구한양 반송방은 돈의문(敦義門) 밖에 위치한 성중오부(城中五部)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일찍부터 인가가 조밀하고 사람들의 왕래가 분주하였다. 특히 경기 지방을 관할하는 경기감영, 말을 빌려주던 고마청, 중국 사신 영접의가 행해졌던 모화관, 반송정, 서지, 천연...
-
황성연2017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general concepts of the Sunbi and Sunbi spirit as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o examine the S...
-
강재금2017궐리사(闕里祠)는 일반적으로 중국 노(魯)나라 곡부(曲阜)에 있는 공자(孔子)의 사당으로 공자의 고향동네인 ‘궐리’에서 시작되었다. 고유명사처럼 사용되었던 궐리사가 조선시대에는 충남 논산에 세워진 노성 궐리사(魯城闕里祠)와 경기도 오산에 세워진 화성 궐리사(華城闕里祠)가 있다. 두 곳 모두 공자영정(孔子影幀)을 모신 영당(影堂)으로 노성 궐리사는 향촌의 사림을 배경으로, 화성 궐리사는 조선국왕 정...
-
정성훈2016본고는 담헌(湛軒) 홍대용(洪大容: 1731~1783)』과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작가정신을 비교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이를 위해 두 작가의 대표 저작이라 할 수 있는 『의산문답(醫山問答)』과 『열하일기(熱河日記)』에 주목하...
-
岩方久彦2015한일관계사연구이 글은 역지통신을 조선멸시의 관점에서 벗어나 ‘御威光’의 관점으로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 나카이 치쿠잔(中井竹山), 마쓰다이라 사다노부(松平定信)의 사상을 재검토했다. ‘고이코’의 관점에서 보면, 아라이 하쿠세키의 역지는 에도에서 일어날지도 모르는 분쟁을 회피하려는 ‘江戶入城停止論’이었고, 나카이 치쿠잔의 역지는 통신사의 에도입성만은 막으려는 ‘에도입성정지론’이었다. 그리고 마쓰다이라 사다...
-
박재경2014본고는 조선시대 策文을 중심으로, 策文의 자료적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장르적 특징과 程式을 규명하고, 策問의 주제와 시대적 의의를 분석하였다. 그래서 그간 연구 성과가 미비했던 조선시대 策文의 전모를 파악함으로써 조선시대의 文․史․哲이 집약된 연구대상으로서의 策文을 재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본고는 크게 예비적 고찰, 對策의 程式과 策問의 주제에 대한 분석, 策文의 시대별 내용 분...
-
임성수2013民族文化硏究정조 20년(1796)부터 간행되기 시작한 『度支田賦考』는 18세기 이후 조선의 각종 토지 결수와 호조의 수입·지출 현황을 정리한 문서이다. 이 책에는 호조에서 관리하고 있는 토지를 연도별·지역별·지목별로 그 수량을 기록하고 있으며, 수입·지출 현황에 대해서도 연도별·지역별·세목별·물종별로 구분하여 세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度支田賦考』는 18세기 왕조정부의 재정개혁 과정에서 간행되었다. 18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