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韩国学综合DB
登入加入会员顾客支援
语言变更
...
检索
문집 & 사료 콘텐츠
韩国历代文集DB
韩译高丽史DB
韩日关系史料集成DB
韩国文集丛刊DB
지리역사 콘텐츠
韩国地理风俗誌丛书DB
满蒙地理历史风俗志丛书DB
C
古典翻译书 DB
其他
지명콘텐츠
한국학 연구논문 콘텐츠
登入加入会员顾客支援
语言变更
检索

한국학 연구논문 콘텐츠
MKSDB / DB / 한국학 연구논문 콘텐츠

  • A到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全部
  • DATABASE
  • 종류별
  • 시대별
  • 주제별

韩国研究内容 16776
种类
최근 발행년순
  • 한국역대문집DB
    |
    학위논문
    18세기 문화ㆍ예술 공간으로서의 반송방(盤松坊)
    김지현
    2017
    서울학연구
    한양 반송방은 돈의문(敦義門) 밖에 위치한 성중오부(城中五部)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일찍부터 인가가 조밀하고 사람들의 왕래가 분주하였다. 특히 경기 지방을 관할하는 경기감영, 말을 빌려주던 고마청, 중국 사신 영접의가 행해졌던 모화관, 반송정, 서지, 천연...
    #반송방 #서지 #남지 #한도십영 #국도팔영 #서거정 #정조 #이윤영 #정약용 #죽란시사.반송송객(盤松送客) #반지상련(盤池賞蓮) #Bansongbang(盤松坊) #Seoji(西池) #Banji(盤池) #Handosipyeong(漢都十詠) #Gukdopalyeong(國都八詠) #Seo_Geo-jeong(徐居正) #King_Jeongjo(正祖) #Yi_Yun-yeong(李胤永) #Yi_In-sang(李麟祥) #Jeong_Yak-yong(丁若鏞) #Jukransisa(竹蘭詩社) #Bansongsongaek(盤松送客) #Banji_Sangryeon(盤松賞蓮)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석사학위논문
    |
    선비문화
    『일득록(日得錄)』을 통해 본 정조(正祖)의 선비 인식 고찰
    황성연
    20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general concepts of the Sunbi and Sunbi spirit as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o examine the S...
    #선비 #선비_정신 #정조 #일득록 #효 #충 #학문 #독서 #생명존중 #애민 #인본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석사학위논문
    |
    조선시대
    한국에서 궐리사의 의미
    강재금
    2017
    궐리사(闕里祠)는 일반적으로 중국 노(魯)나라 곡부(曲阜)에 있는 공자(孔子)의 사당으로 공자의 고향동네인 ‘궐리’에서 시작되었다. 고유명사처럼 사용되었던 궐리사가 조선시대에는 충남 논산에 세워진 노성 궐리사(魯城闕里祠)와 경기도 오산에 세워진 화성 궐리사(華城闕里祠)가 있다. 두 곳 모두 공자영정(孔子影幀)을 모신 영당(影堂)으로 노성 궐리사는 향촌의 사림을 배경으로, 화성 궐리사는 조선국왕 정...
    #궐리사 #정조 #성적도 #공자영정 #양한계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박사학위논문
    |
    조선시대
    |
    선비문화
    홍대용과 박지원의 작가정신 비교 연구
    정성훈
    2016
    본고는 담헌(湛軒) 홍대용(洪大容: 1731~1783)』과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작가정신을 비교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이를 위해 두 작가의 대표 저작이라 할 수 있는 『의산문답(醫山問答)』과 『열하일기(熱河日記)』에 주목하...
    #정조 #박지원 #홍대용 #의산문답 #열하일기 #작가정신 #문학장르 #주제의식 #존중 #탐구 #Jeongjo(正朝 #penname:_Hongjae) #Hong_Daeyong(洪大容 #penname:_Damheon) #Park_Jiwon(朴趾源 #penname:_Yeonam) #Euisanmundap(醫山問答) #Yeolhailgi(熱河日記) #writer's_Spirit #literature_genre #subject_consciousnes #respect #quest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박사학위논문
    |
    조선시대
    조선시대 策文 연구
    박재경
    2014
    본고는 조선시대 策文을 중심으로, 策文의 자료적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장르적 특징과 程式을 규명하고, 策問의 주제와 시대적 의의를 분석하였다. 그래서 그간 연구 성과가 미비했던 조선시대 策文의 전모를 파악함으로써 조선시대의 文․史․哲이 집약된 연구대상으로서의 策文을 재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본고는 크게 예비적 고찰, 對策의 程式과 策問의 주제에 대한 분석, 策文의 시대별 내용 분...
    #책문 #대책 #문책 #정홍명 #정조 #문체책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학술지
    |
    조선문화
    『탁지전부고(度支田賦考)』를 통해 본 호조의 재원 파악방식과 재정구조 변화
    임성수
    2013
    民族文化硏究
    정조 20년(1796)부터 간행되기 시작한 『度支田賦考』는 18세기 이후 조선의 각종 토지 결수와 호조의 수입·지출 현황을 정리한 문서이다. 이 책에는 호조에서 관리하고 있는 토지를 연도별·지역별·지목별로 그 수량을 기록하고 있으며, 수입·지출 현황에 대해서도 연도별·지역별·세목별·물종별로 구분하여 세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度支田賦考』는 18세기 왕조정부의 재정개혁 과정에서 간행되었다. 18세기...
    #탁지전부고 #호조 #정조 #국가재정 #실상납 #가입 #Takjijeonboogo #Hojo #jeongjo #National_finance #Silsangnap #Gaip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학술지
    |
    조선문화
    강산무진(江山無盡), 조선이 그린 유토피아
    고연희
    2013
    한국문화연구
    〈강산무진도(江山無盡圖)〉라는 제목으로 전하는 이인문(李寅文) 필 산수화는 8미터가 넘는 두루마리의 ``규모``와 이 규모의 산수장관 속을 파고드는 현실문명의 ``의미``로 조합된 새로운 차원의 그림이다. 이 그림 속 산수장관은 기관(奇觀)의 절경(絶景)을 추구한 당시의 산수미학을 반영한 극치의 산수경관이면서 동시에 현실 문명의 배경이라면, 이 그림 속 현실문명은 18세기 학자들이 주장하고 국왕 ...
    #강산무진도 #이인문 #유토피아 #정조 #수레 #선박 #조선후기_회화 #Endless_Mountains_and_Streams #Yi_Inmun #Utopia #Jongzo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박사학위논문
    |
    조선시대
    『協吉通義』의 命理·風水 原理 硏究
    구현식
    2013
    This study is analyzing of bibliographic aspect of Hyupgiltongui which was compiled in King Jeongjo of the late Chosun Dynasty and researching ...
    #협길통의 #명리학 #풍수 #역법 #음양오행 #정조 #조선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석사학위논문
    |
    역사문화
    역사문화자원의 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김선혜
    20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content using the historical figure, King Jungjo, whose period left rich cultural heritage. In the ...
    #역사문화자원 #역사인물 #문화벨트 #콘텐츠 #문화유산 #문화원형 #세계문화유산 #정조 #수원화성 #축제
    阅读更多 查看原文
  • 학술지
    |
    문집
    정조(正祖)의 인재관(人材觀) 연구(硏究) -「책문(策問)」을 중심으로-
    김현옥
    2009
    漢文學論集
    本稿에서는 요순의 태평성대를 자신의 治世에 재현시키고자 했던 군주인 정조의 人材觀을 그의 개인 문집인 『弘齋全書』에 수록되어 있는 「策問」을 통해 살펴보았다. 책문은 어려움에 처해 있는 국가의 문제를 소통시킬 수 있도록 과거를 통해 세상에 첫발을 내딛는 젊은 인재들에게 해결책을 구하는 수단이었다. 책문은 당대의 碩學들이 출제하기도 하지만 출제자는 임금이라는 형식을 띤다. 따라서 책문 속에는 그 출...
    #정조 #正祖 #책문 #策問 #인재 #人材 #규장각 #奎章閣 #탕평 #蕩平 #Jeongjo #Chaekmun #talented_people #Gyujanggak #impartiality_in_arguments
    阅读更多 查看原文

First PagePreview Page12Next PageLast Page총 20건



미디어한국학
公司简介 | 顾客支援 | 使用条款 | 隐私权政策 | 管理局管理页面
MEDIA韩国学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445-1 경인빌딩 B동 4층 | 0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