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사헌 남재가 왜구의 침구에 대비하여 기선군과 육수군을 선발할 것을 건의하다.
대사헌 남재(南在) 등이 상언하였다.
“신 등은 외람히도 용렬하고 어리석은 자질로서 헌사(憲司)에 자리를 채우고 있으니, 어찌 감히 잠자코 말을 하지 않아서 전하의 다스리기를 원하는 뜻을 저버리겠습니까? 삼가 좁은 소견을 조목별로 열거하여 아뢰오니,...
-
일기도 ․ 대마도를 정벌하러 떠나는 김사형 등에게 교서를 내리다.
문하우정승(門下右政丞) 김사형(金士衡)으로 오도병마도통처치사(五道兵馬都統處置使)를 삼고,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 태학사(太學士) 남재(南在)로 도병마사(都兵馬使)를 삼고,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 신극공(辛克恭)으로 병마사를 삼고, 전 도관찰사(都觀察使) 이...
-
대마도수호 종정무가 평도전을 보내 울릉도에 살기를 청하다.
대마도수호(對馬島守護) 종정무(宗貞茂)가 평도전(平道全)을 보내와 토물을 바치고, 부로를 돌려보냈다. 정무(貞茂)가 무릉도(武陵島)를 청하여 여러 부락을 거느리고 가서 옮겨 살고자 하므로, 임금이 말하기를,
“만일 이를 허락한다면, 일본국왕(日本國...
-
임금이 경연청에서 하윤을 힐문하는 것을 왜적에 비유하다.
경연청에 좌기하여 정사를 들으니, 의정부·육조·대간이 비로소 들어와 일을 아뢰었다. 임금이 말하기를,
“재상의 지위가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 같은 이는 예전에도 있었지만, 이씨(李氏) 사직에 특별히 공덕이 있는 것은 진산 부원군 같은 ...
-
임금이 왜인과 밀무역 한 사실을 비밀로 부치게 하다.
초전(楚殿)의 왜사 등이 돌아갔다. 순금사에서 아뢰었다.
“근래 왜관에서 금물을 무역하는 자가 자못 많습니다. 판의정(判議政) 남재(南在)·부원군 유양(柳亮)·정탁(鄭擢)·전 경력(經歷) 허반석(許盤石) 등도 또한 백은(白銀)·인삼(人蔘) 등의 물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