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변사가 아산창의 조운을 해로로 보내게 하라고 청하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장수의 의리란 근왕보다 더 큰 것이 없습니다. 이옥(李沃) · 이익(李翌) · 이광(李洸) 등은 달려와서 경성을 구원해야 마땅한데 그들은 경성을 중하게 여기지 않고 다만 들어온 외적만 염려하였으니 경중의 본...
-
상이 임진 전투의 패배 상황, 군량의 조달, 각도의 전투 상황을 논의하다.
상이 대신 최흥원(崔興源)·윤두수(尹斗壽), 우찬성 최황(崔滉), 예조판서 윤근수(尹根壽), 호조판서 한준(韓準), 병조판서 김응남(金應南), 대사헌 이항복(李恒福), 동지 이성중(李誠中), 부제학 심충겸(沈忠謙), 대사간 정곤수(鄭崐壽), 동지 이덕형(李...
-
군량을 조달하는 일에 대비하라고 전교하다.
전교하기를,
“평양의 왜적을 몰아내면 황해도는 군량이 부족하다. 충청도 아산창(牙山倉)에 세미가 많이 쌓였다 하니, 본도의 감사에게 배에 싣고 와서 중국 군사에게 나누어주든지 아니면 우리 군사가 이르는 곳을 따라 군량을 대도록 ...
-
전 충청감사 윤선각이 아산창의 곡식을 운송하여 군량에 보충케 하다.
전 충청도감사 윤선각(尹先覺)이 아산창(牙山倉)의 전세미와 대맥(大麥)을 합해 7,500석을 관원을 임명, 합송하여 군량에 보충시키게 하였다. 비변사가 풍원부원군 유성룡(柳成龍)에게 효유하여 정주(定州)에 옮겨와 머물면서 형편을 보아 조처하도록 청하였다.
-
세자를 시종하는 신료들의 식량이 떨어져 아산창의 전세미를 나누어 주다.
동조(東朝)를 시종하는 신료들의 식량이 절핍되었으므로 아산창(牙山倉)의 전세미 50~60석을 가져다 나누어 주었다.
-
호조에서 중국군의 소요 양곡을 위해 미수 전세를 거둘 것을 건의하다.
호조가 아뢰기를,
“삼창에 남아 있는 것은 오직 쌀·콩 합하여 24,500여 석과 피곡 3천여 석이 있을 뿐인데, 1개월의 백관 이하의 산료와 현재 중국군에게 지출하는 양곡의 수효는 2,910여 석이나 되며, 불시의 비용은 이 ...
-
중국군의 남행에 따른 군량 조달 등의 문제들을 논의하다.
비망기로 전교하기를,
“이번 거사에 답답한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양식을 장차 어떻게 마련해 낼지가 첫번째 걱정이고, 적세의 강약을 헤아릴 수 없는데 대장이 적은 군사를 거느리고 가벼이 내려가는 것이 두 번째 걱정이다. 왜적...
-
사간원이 부산첨사 신충일이 병으로 실성하였으므로 파직시키자고 아뢰다.
〈사간원이 아뢰기를,
“예빈시주부 이의신(李懿信)을 법률에 의해 죄를 결정하소서.”
하였는데, 따르지 않았다. 또 아뢰기를,
“부산진은 대마도와 마주 바라보고 있어서 조석으로 변고에 대비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