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목사 남치근과 전라우수사 김빈이 왜변을 치계하다.
제주목사 남치근(南致勤)과 전라우수사 김빈(金贇)이 왜변을 치계하였다.
【치근의 장계는 다음과 같다.
“5월 22일 황당선(荒唐船) 한 척이 서대양(西大洋)에서 동쪽을 향해 와서는 돛을 반쯤 올리고 조천관(朝天館)을 향해 갔습니다. 또한 왜선...
-
영의정 심연원 등을 불러 중국인과 왜인의 처치에 관해 의견을 듣다.
영의정 심연원(沈連源)·좌의정 상진(尙震)·우의정 윤개(尹漑)·우찬성 안현(安玹)·지중추부사 장언량(張彦良)·동지중추부사 이광식(李光軾)·동지돈녕부사 송숙근(宋叔瑾)·병조참판 정응두(丁應斗)·상호군 윤담(尹倓)·참지 박영준(朴永俊)을 명초하여 전교하기를,
...
-
상이 임진 전투의 패배 상황, 군량의 조달, 각도의 전투 상황을 논의하다.
상이 대신 최흥원(崔興源)·윤두수(尹斗壽), 우찬성 최황(崔滉), 예조판서 윤근수(尹根壽), 호조판서 한준(韓準), 병조판서 김응남(金應南), 대사헌 이항복(李恒福), 동지 이성중(李誠中), 부제학 심충겸(沈忠謙), 대사간 정곤수(鄭崐壽), 동지 이덕형(李...
-
왜적과의 전투 내용을 담은 자문을 요동에 보내다.
요동에 자문을 보냈는데, 그 대략은 다음과 같다.
“전라도병마절도사 최원(崔遠)이 8월 6일 의병장 김천일(金千鎰), 강화부사(江華府使) 윤담(尹湛), 월곶진첨절제사(月串鎭僉節制使) 이빈(李薲) 등과 배를 타고 진격하니 적이 퇴각하여 토성으로 들어갔...
-
이덕형 등을 인견하고 이제독이 탄핵을 받은 일, 중국 남 ․ 북군의 갈등을 논의하다.
접반사 지중추부사 이덕형(李德馨), 평안도감사 이원익(李元翼), 좌승지 홍진(洪進)을 인견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뜻밖에 제독이 탄핵을 받아 우리나라가 불행하게 되었다. 일이 이렇게 되었으니 어떻게 할 것인가?”
하니,...
-
정언 이이첨 등이 상호군 조경, 중군 조의와 윤담, 사예 권춘란의 처벌을 청하다.
정언 이이첨(李爾瞻)이【대사간 윤담무(尹覃茂), 사간 이상신(李尙信), 정언 조즙(趙濈)이다.】와서 아뢰기를,
“상호군 조경(趙儆)은 훈련도감 대장으로 군사를 거느리고 왜적을 토벌하러 나가 머뭇거리다가 끝내 왜적을 보지도 못하고 돌아왔으니 매우 통분...
-
관곡과 처자를 배에 싣고 도망친 전라좌우후 이몽구를 처단하기로 하다.
장령 이함(李諴)이【대사헌 이헌국(李憲國), 집의 민몽룡(閔夢龍), 지평 성이문(成以文).】와서 아뢰기를,
“신들이 삼가 어제 조보를 보니, 조경의 머뭇거린 일을 비변사에 하문하시었습니다. 간관이 들은대로 논계하였는데 그들이 들은 바는 보통 우연히 ...
-
제포첨사의 일로 재략이 있는 무신을 보내게 하다.
영의정 윤은보(尹殷輔), 좌의정 홍언필(洪彦弼), 우의정 윤인경(尹仁鏡), 호조판서 윤임(尹任), 병조판서 김안국(金安國), 우찬성 양연(梁淵), 이조판서 성세창(成世昌), 우참찬 이기(李芑),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우맹선(禹孟善),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
-
조강에서 변장의 교체에 대해 의논하다.
조강에 나아갔다. 상이 임문하여 이르기를,
“사졸을 잘 선택하는 것이 장수를 잘 선택하는 것만 못하다 하였으니, 이 말이 적절한 말이다. 우리나라는 서쪽·남쪽의 걱정이 가장 큰데, 역시 사람을 잘 선정하여 곤외를 맡겨야 다소 근...
-
승정원이 비변사 당상의 뜻으로 김해 부사의 일을 아뢰다.
정원이 비변사 당상의 뜻으로 아뢰기를,
“김해(金海)는 요사이 오래 비어 있습니다. 새 부사 권겸(權㻩)이 외방에 있는데, 만일 올라온 다음에 또 서경(署經)을 거치고서 부임한다면 지금처럼 사변이 있는 때에는【사량왜변(蛇梁倭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