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정화2004退溪學과 韓國文化누정시는 景物詩 가운데서도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퇴계학맥을 창도한 퇴계의 경우, 實景을 묘사하는 敍景은 하지 않고, 대상의 내재적 의미를 확인하거나 드러낸 시편이 많다. 퇴계의 嫡傳인 학본의 누정시에서 寫景의 비중이 크지 않은 것은 그가 바로 스승 퇴...
-
우인수2004퇴계학과 유교문화본고는 정만양이 제시한 토지제도 개혁안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토지제도를 면밀히 검토한 위에서 자신의 토지제도 개혁안을 주장하였다. 그가 주장한 토지제도 개혁안은 토지 소유의 상한선을 제한하는 한전제였다. 그는 한대 동중서에 의해 제...
-
우인수2004退溪學과 韓國文化본고는 정만양이 제시한 토지제도 개혁안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토지제도를 면밀히 검토한 위에서 자신의 토지제도 개혁안을 주장하였다. 그가 주장한 토지제도 개혁안은 토지 소유의 상한선을 제한하는 한전제였다. 그는 한대 동중서에 의해 제...
-
柳鐸一2003退溪學과 韓國文化이 논문은 『朱子書節要』가 어떻게 편찬되어, 유통 되었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退溪에 의해 요약된, 『朱子書節要』는 그것이 유통되는 동안 조선에서는 9번, 일본에서는 4번에 걸쳐 발간되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조선 1 <星州本(1561)> 黃俊良印本 ...星州本(1561)>
-
朴性鳳2003退溪學과 韓國文化1. 『죽천집』의 특징 『竹川集』은 문강공(文康公) 죽천 박광전(朴光前, 1526~1597)의 문집으로, 1929년에 원·속집 합 9권 4책이 안규용에 의하여 꾸며졌다. 근자에 민족문화추진회 등 몇 출판사에서 양장 보급판으로 복간되고, 따로 번역본이 편간...
-
안병걸2003退溪學과 韓國文化본 연구의 목적은 미수 許穆이 嶺南學派에서 전수 받은 것이 무엇인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記言』에는 곳곳에 분산하여둔 전기 자료가 많이 보인다. 거기에는 영남 출신 학자들에 대한 기록도 풍부하게 남아 있어 그가 영남의 학자들과 다양한 교류가 있었음을 알 ...
-
丁惠貞2003宗敎敎育學硏究퇴계와 율곡의 마음공부에는 주자학이 갖는 지행병진의 道問學과 存德性이 계승되어 있다. 知공부와 行공부는 함께 하는 것으로 떨어질 수 없는 것이므로 이는 거경, 궁리, 역행으로 나뉘어 설명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를 총칭하여 敬공부라 할 수 있다. 敬공부는 곧...
-
황위주2003退溪學과 韓國文化본고는 서울 경기지역 퇴계 문인의 실상과 그 성격을 집중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서울 경기지역 퇴계 문인들이 그 수에 있어서는 경상북도 지역 다음으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대체로 퇴계 이전에 이 일...
-
김문식2003退溪學과 韓國文化星湖 李瀷(1681∼1763)은 箕子의 행적과 제도를 독자적으로 해석한 조선후기 지식인 중의 한사람이다. 그는 조선이 이미 檀君 때부터 舜 임금을 통해 중국의 문화와 접촉했고, 箕子가 殷의 제도를 전한 이후 중국의 고대 문화가 꾸준히 전해진 것으로 이해하였...
-
정부우2003文化傳統論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