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순 ․ 김수동 등이 내지의 방비책과 왜료 문제 등에 대한 대책을 아뢰다.
유순·김수동·박원종·유순정·성희안·노공필이 의논드리기를,
“근래 승평(昇平)에 젖어 남방의 무비가 해이한데, 내지는 더욱 심합니다. 무릇 군무에 관계되는 것은 아무쪼록 정돈하여 소우(疎虞)하지 말게 할 일을 병사에게 하유하소서. 그리고 방어의 득실은...
-
유순 등이 왜인의 접대 문제를 도주의 아들에게라도 유시할 것 등을 아뢰다.
유순·김수동·유순정·노공필 등이 아뢰기를,
“전일 왜인이 도성 안에서 사람을 잡아끈 일을, 명하여 도주에게 통유하게 하였습니다. 이제 듣건대, 그 왜인이 몹시 두려워하고 또 회한하는 마음이 있다 하니, 청컨대 통유하지 마소서.” ...
-
삼포의 첨사 ․ 만호 및 수령의 직질에 대해 논의하다.
김응기(金應箕)가 의논드리기를,
“왜노를 진복시킴은 사람을 얻는 데 있고, 직질의 고하에 있지 않으니, 삼포의 첨사·만호 및 수령을 옛 법례대로 하는 것이 합당합니다. 첨사 등이 비록 이미 부임하여 왜노들이 의장을 보았더라도, 도로 고쳐도 또한 무방...
-
정광필이 왜인 진소지의 힐문을 아뢰다.
예조판서 정광필(鄭光弼)이 아뢰기를,
“왜인 진소지(陳小只) 등이 우리나라 사람들과 내통하여 관문을 위조하여 올라왔으니 그 속임수는 심한 짓입니다. 처음에 낭관에게 그 연유를 따져 힐문하게 하였더니, 진소지는 비록 자복하지 않았지만 그 나머지 왜인들...
-
김수동 등이 진소지의 일을 아뢰다.
김수동(金壽童)·유순정(柳順汀)·노공필(盧公弼)·성희안(成希顔)·민효증(閔孝曾)·권균(權鈞)·이손(李蓀)·김응기(金應箕)·신윤무(辛允武)·박영문(朴永文)·신용개(申用漑)·장순손(張順孫)·정광필(鄭光弼)·이점(李坫)·박열(朴說) 등이 …… 또한 진소지(陳小只...
-
안윤덕은 도순찰사로 삼고, 좌의정 유순정은 체찰사로 삼을 것인가를 의논하다.
영의정 김수동 등이 아뢰기를,
“왜적이 공략하여 그 형세가 크게 치성하니, 한 장수로 하여금 성주(星州) 등처의 군사를 주장하여 변에 대비하게 하고, 또 도체찰사(都體察使)를 명하여 서울에 있으면서 조치하게 하고, 그 나머지 곤외의 일은 방어사(防禦...
-
유순정을 대장으로 삼을 것 등을 아뢰다.
조강에 나아갔다. 대사헌 정광필(鄭光弼)이 아뢰기를,
“원수가 비록 내려간다 하더라도 백성은 풍문만 듣고 도망하여 달아나니, 아무리 훌륭한 장수가 있다 한들 장차 어찌 하겠습니까? 태평한 지가 오래인데 졸지에 변이 생기니, 누가 삶을 가볍게 여기고 ...
-
유순정이 전라도 방어사를 다시 정하기를 청하니 정광필 ․ 구현휘로 하다.
유순정이 아뢰기를,
“전라도방어사 조한손(曹漢孫)은 물망이 존중하지 않으니, 청컨대 중신을 택하여 그로 하여금 용감하고 날랜 군사를 거느려 사전에 먼저 방어하게 하소서.”
하니, ‘그리하라’ 고 전교하고, 대사헌 정광필(鄭光弼)을 전라도 도순...
-
전라도 도순찰사 정광필이 변경의 일을 알지 못한다고 사양하다.
전라도 도순찰사 정광필(鄭光弼)이 변경의 일을 알지 못한다 하여 사양하였으나, 윤허하지 않았다.
-
도원수 유순정과 도순찰사 박영문 ․ 정광필 등에게 의복을 하사하다.
도원수 유순정(柳順汀)과 도순찰사 박영문(朴永文)·정광필(鄭光弼)에게 의복을 차등 있게 하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