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연에서 왜인을 접견할 때 어탑에서 술을 바치는 문제를 논하다.
경연에 나아갔다. 강하기를 마치자, …… 정언(正言) 장순손(張順孫)이 아뢰기를, ……
“오랑캐의 무리는 가까이 할 수 없는 것인데, 지금 왜인을 접견할 때 어탑(御榻)삼거(三車)불교의 법화경에서, 양거(羊車)·녹거(鹿車)·우거(牛車)를 각각 성문승...
-
헌납 손중돈 등이 북방 지역의 인구 문제 등에 대해 논하다.
왕이 경연에 납시니, 헌납 손중돈(孫仲暾), 시강관 장순손(張順孫), 지평 손번(孫蕃), 검토관 권민수(權敏手)가 함께 도승·선승에 대한 그른 점에 논했다. …… 특진관 성준(成俊)은 아뢰기를, ……
…… 성준은 아뢰기를,
“연대를 설치한 것...
-
홍문관 직제학 홍한 등을 각 요새지로 보내 방어 태세를 살피게 하다.
홍문관 직제학 홍한(洪瀚)을 경상도 부산포로, 응교 장순손(張順孫)을 전라도 마도(馬島)로, 부교리 이과(李顆)를 평안도 추파(楸坡)로, 부수찬 권민수(權敏手)를 영안도 안포(安浦)로 보내어 방어를 살피게 하였다.
-
영산과 법성 두 창고를 군산포로 옮기는 일에 대하여 윤필상 ․ 성준 ․ 이극균이 의논하다.
전라도관찰사 장순손(張順孫)이 아뢴, 영산(榮山)·법성(法聖) 두 곳 창고를 옥구(沃溝) 지방 군산포(群山浦)로 옮겨 설치하는 일의 편리 여부를 의논하게 하였는데, 윤필상(尹弼商)이 의논드리기를,
“지금 계본을 보니, 사세에 합당할 것 같으나, 다만...
-
경상도 관찰사 장순손을 인견하고 유시하다.
경상도관찰사 장순손(張順孫)이 배사하였는데, 상이 인견하고 이르기를,
“근래 왜적이 치성하여 변장들이 욕을 보고 있으며, 연해 백성들이 편히 살 수 없으니, 국가의 수치가 이보다 더 심할 수 없다. 또 수령의 출척은 마땅히 엄격하고 분명하게 하여야 ...
-
수군의 보충을 명하다.
이에 앞서, 경상도관찰사 장순손이 하직 인사를 할 적에 상이 인견하였는데 순손이 수군의 허술한 폐단을 개진하니, 삼공과 해조(該曹)에 수의할 것을 명하였다. 박원종·유순정·김감·허집·이굉 등이 의논드리기를,
“수군이 군역이 고됨으로 인하여 도망쳐 흩...
-
대사헌 장순손 등이 안윤덕의 추문을 청하다.
…… 대사헌 장순손은 아뢰기를, …… 순손은 또 아뢰기를,
“연변에 비축이 없어 왜료를 주기 어려우니, 신은 더욱 변방의 걱정을 만들까 염려됩니다. 성주(星州) 이하 각 읍의 저축이 부족하면, 성주 이상의 읍의 저축도 같이 계산하여 주도록 하소서. ...
-
조강에서 장령 윤희인이 왜인에게 판 경상도 연변의 민전 반환 등을 청하다.
조강에 나아갔다. 장령 윤희인(尹希仁)이 아뢰기를,
“경상도 연변의 민전을 왜노에게 판 것을, 전자 장순손(張順孫)이 감사로 있을 때에 추쇄하여 계문한 일이 있는데, 최명동(崔命同)이 부산포만호(釜山浦萬戶)로 있을 때에 왜노에게 말하기를, ‘너희들이...
-
호판 이계남 등이 왜료의 부족분을 미수 전세로 충당하는 문제를 하다.
호조판서 이계남(李季男) 등이 아뢰기를,
“경상도에서 1년에 지급되는 왜료가 22,000여 석에 이르는데, 공안의 수는 다만 15,000여 석 뿐이므로, 그 부족한 수는 명하여 병인년 이상의 미수 전세로 충당하여 지급하라 하였습니다. 그러나 금후로는...
-
유순 ․ 김수동 등이 내지의 방비책과 왜료 문제 등에 대한 대책을 아뢰다.
유순·김수동·박원종·유순정·성희안·노공필이 의논드리기를,
“근래 승평(昇平)에 젖어 남방의 무비가 해이한데, 내지는 더욱 심합니다. 무릇 군무에 관계되는 것은 아무쪼록 정돈하여 소우(疎虞)하지 말게 할 일을 병사에게 하유하소서. 그리고 방어의 득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