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성현2020韓國古代史硏究본고에서는 ‘도시’라는 관점에서 신라 왕도의 형성 과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고고학에서는 궁성으로서의 토성과 왕묘로서의 고총이 등장하는 것을 도성의 형성으로 보기도 했지만, 그것을 본격적인 도성으로 규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지방에도 토성과 고총이라고 하는 동일한 구조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것을 초기 왕도로 규정하고, 당시 신라의 고총 체계를 단순한 간접 지배가 아닌 지배층이 분거…
-
엄연석2014동아시아 문화연구본고는 선진시대 유학사상을 대표하는 맹자와 순자의 철학에서 王道覇道論의 특성을 그들의 人性論을 중심으로 하는 철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해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맹자와 순자가 왕도와 패도를 각각 相對的 관점과 相補的 관점으로 바라보는 근거와 이유를 중점적으로 규명하였다. 맹자가 왕도와 패도를 대립적 시각으로 보는 이면에는 인간의 도덕적 본성과 이목구비의 감각적 욕구 중 하나는 적극적으로 실현해야 하는 이…
-
정인숙2013韓國 詩歌硏究본고는 조선후기 시가를 대상으로 서울의 ‘장소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고에서는 시적 화자가 서울 안에서 바라보는가 서울 밖에서 바라보는가 또는 서울인으로 바라보는가 외부인으로 바라보는가 하는, 서울을 바라보는 시적 화자의 입장과 거리를 고려하…
-
정인숙2013韓國 詩歌硏究본고는 조선후기 시가를 대상으로 서울의 ‘장소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고에서는 시적 화자가 서울 안에서 바라보는가 서울 밖에서 바라보는가 또는 서울인으로 바라보는가 외부인으로 바라보는가 하는, 서울을 바라보는 시적 화자의 입장과 거리를 고려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서울 안에서 바라본 서울의 장소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서울은 왕도로서의 상징적 공간으로 의미화 된다. 이는 조선…
-
정태연2009본 논문은 조선전기 士禍의 소용돌이 속에서 적극적인 정치참여를 통해 道學을 구현하려다 결국 士禍에 희생 된 晦齋李彦迪(1491-1553)의 道學思想에 대한 논문이다. 당시 조선의 학문은 孔ㆍ孟의 학문과 선현들의 이론을 집대성한 朱熹의 학문을 安珦이 수입하여 鄭夢周, 吉再, 金宗直, 趙光祖, 등의 발전기를 거쳐 李滉, 奇大升, 李珥, 成渾의 性理논변 등을 통해 완성기를 맞이하고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