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은주2022한국고지도연구In this article, we discussed the formation of historical attractions in Pyongyang. Pyongyang was a place where envoys stayed because it was loca…
-
황미2020역사문화 지역은 지속가능한 구시가지 재생을 위한 자원으로서 어떻게 재생계획 수단으로 진행되는가에 주목되고 있다. 이에 문화주도 도시재생을 통해 재 활성화되는 구사가지 중국 칭다오 중산로지역은 연구 가치가 있는 사례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산로지역을 대상지로 구시가지 재활성화 및 장소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을 도출하고 미래 중국 문화주도 도시재생의 효율적인 활성화 메커니즘을 …
-
박영원2019This study explores how the Placeness affects Cultural Memory representation due to the analysis of the Placeness and cultural memory representat…
-
정예은2018Recently, media facades in historical space are increasingly being used to make local and historical spaces attractive in Korea. However, the qua…
-
강기범2018Arirang is a folk song that was created and has been transmitted in the life of common people. In 2012, it was appointed as World Intangible Cult…
-
신진숙2018로컬리티 인문학이 글은 한일 환경담론에서 환경인식과 실천의 출발점으로서 ‘로컬리티’가 구성되는 방식을 문화사회학적 관점에서 고찰했다. 특히, 환경문제가 집중된 환동해지역을 배경으로 발생하는 환경 운동과 환경 문제를 기록한 한일 환경 다큐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는데, 이는 생태적 문제의식과 로컬리티의 문화적 구성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고찰하기 위함이다. 1990년대 이후 발표된 다큐멘터리의 비교 연구를 통해 한국과 …
-
고성혜2016본 논문은 장소 또는 장소성이라는 지리적 범주가 가사문학에 대한 참신하고 특이한 이해나 해석의 방편으로만 인식되어서는 안 된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했다. 따라서 본고의 목적은 한국 가사문학과 장소성 개념의 긴밀한 연관성을 전제하고, 실제 작품 속에서 장소성이 예술적 형식이나 작가의 세계관을 통해 발현되는 양상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우선 어느 한 작품이나 인물을 대표로 하여 그것을 특정 …
-
이무용2015한국지역지리학회지본 연구는 광주 예술의 거리에서 살아온 생활주체들의 경험의 관점에서 거리의 형성 과정과 장소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예술의 거리의 지리적 특성과 공간 변화, 광주 예술계의 흐름과 경제?정치적 상황을 검토함으로써, 예술의 거리가 지정…
-
박수지2015최근 서울은 역사도시와 관광도시로서의 성격을 강화하고 있다. 이 두 측면을 종합하는 핵심자원이 경관과 명소이다. 대중들의 도시경관 이미지를 지배하는 두 가지 경향이 있는데 하나는 시각적 랜드마크로서의 대표경관이고 또 하나는 대중들이 즐겨 방문하는 장소인 명소이…
-
이재근2014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한강은 한양도성 성저십리 남쪽 경계를 흐르는 승경지여서 별서지로 유명하였다. 연구는 15c 중엽 한명회가 강 남쪽에 세웠던 압구정에 관한 고찰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압구정이 세워졌던 한강은 문화적인 풍류지역이었다. 둘째, 서호의 정자는 1454-1456년 조성된 초정, 동호의 압구정은 1469-1473년에 조성된 별서였다. 서호의 정자는 잊혀졌고 동호의 정자는 압구정동 이름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