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일영2015본 논문은 斗室 沈象奎(1766~1838)의 척독집인 『斗室尺牘』을 대상으로 하여, 異本 검토 및 다른 척독집과의 비교를 통해 『두실척독』의 성격과 편찬 목적 그리고 주요한 특성 등을 밝히고 『두실척독』의 종합적 의의를 究明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하였다. 제2장에서는 먼저 19세기 중・후반의 척독 인식과 척독집의 수요 및 편찬에 대해 조명하였다. 그리고 『두실척독』과 비슷한 시기에 편찬된 척독집…
-
김영선2014인문사회과학연구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에 조공(朝貢) 관계를 맺고도, 조선 문인들은 청나라를 중화(中華로) 여기지 않았다. 그랬기에 연행(燕行) 초기에는 기록을 별로 남기지 않았으며, 북경(北京)에 가서도 그곳 지식인들과 한시를 주고받거나 필담(筆談)을 나누지 않았다. 1765년의 홍대용(洪大容), 김재행(金在行)이나 1780년의 박지원(朴趾源)에 와서야 청나라 지식인들과 필담을 나누거나 면지를 주고받게 되었다. 청나…
-
천금매2011본고는 18∼19세기 朝鮮과 淸朝 문인들의 교류척독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우선 현재까지 내용을 확보한 27종 교류척독 자료를 소개하고, 다음 이러한 척독자료를 바탕으로 18세기 북학파와 19세기 북학파 후계자들의 朝·淸 문화교류의 흐름과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18∼19세기 朝·淸 문인들의 교류척독이 가지는 특징과 의의를 밝혀보았다. 현재까지 필자가 확인한 교류척독 자료는 총 34종이다. 이중…
-
홍인숙2010한국문화연구본 연구는 한문 편지쓰기의 교본인 척독집이 근대시기에 대량 출판, 유통된 상황에 주목하고 이 자료군의 성격을 해명하고자 하는 시론적 성격으로 쓰였다. 이를 위해 근대 척독집의 자료군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가장 자주 언급되는 대표적인 근대 척독집인 『척독완편』을 중심으로 지은이와 서지사항, 책의 체제와 특징을 밝히고자 했다. 근대 척독집은 1900년대에 출판되기 시작하여 1920~30년대까지 활발하…
-
천금매2010淵民學志본고는 최초로 척독집 『尺牘藏거集』의 내용과 가치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 척독집은 金魯敬, 金命喜가 淸朝 문사들로부터 받은 척독을 모아 편찬한 필사본이다. 현재 서울대 규장각에 유일본으로 소장되어 있다. 이 척독집에는 청조 문사 吳嵩梁, 周達, 葉志詵, 陳克明, 張深, 奏헌, 期葉琛, 汪喜孫, 劉喜海, 葉繼雯, 繆紹薪, 劉식, 繆博振, 陳用光 등 14명의 척독 28편이 수록되어 있다.…
-
김성수2009현대소설연구이 글에서는 근대적 글쓰기로서의 서간양식에 대한 본격 연구의 일환으로, 1900년대부터 30년대까지 간행된 대표적인 서간(서간집)의 역사적 변천과 문학사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대 이전과 이후 서간을 비교하면 한문 지식인이 서간의 중요한 기능의 하나로 여겼던 `철학적 의론의 장`이 사라지고 대신 개인의 발견을 위한 감정 전달이라는 고백적 글쓰기장이 강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근대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