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The Korean Studies Content
MKSDB / DB / 한국학 연구논문 콘텐츠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DATABASE
  • 종류별
  • 시대별
  • 주제별

Korean Studies Content 20,231
Sort
Most recent publication year
  • 학술지
    |
    한일관계사
    조일 국교회복에 관한 에도시대의 역사서술 : 17세기의 성립과정을 중심으로
    이해진
    2022
    한일관계사연구
    This article focuses on the historical descriptions of Japan in the 17th century, which describes the restor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Restoration_of_the_diplomatic_Relation_between_Joseon_and_Japan #Historical_Descriptions #Edo_Bakufu #Tsushima_Clan #17th_Century #조일_국교회복 #역사서술 #에도막부 #쓰시마번 #17세기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고전문학
    전쟁, 영웅, 이념 -한국 고전소설에서 본 전쟁-
    정길수
    2022
    古典文學硏究
    I reserched the trend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 novels using ‘war’ as the theme. In the early novels, both sides of pain and opportunity o…
    #한국_고전소설 #전쟁 #영웅 #이념 #17세기 #가문소설 #영웅소설 #Korean_classic_novels #war #hero #ideology #17th_century #family_novel #heroic_novel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조선시대
    조선시대 17세기 한글 간본문헌의 서체특징과 서예사적 고찰
    박정숙
    2022
    서예학연구
    In this study, I tried to figure out the transition process of Hangeul calligraphic styles from the Hangeul creation in the 15th century to the b…
    #17th_Century #Published_Documents #Hangeul_Calligraphic_Styles #Hangeul_Calligraphy_History #Formative_Beauty_of_Hangeul. #17세기 #간본문헌 #한글서체 #한글서예사 #한글_조형미.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고려시대
    17세기 송도 기록에 나타난 개성 이미지의 형성 -고려의 수도에서 조선의 경기로-
    노경희
    2020
    韓國漢文學硏究
    본고는 고려 500년의 수도였던 개성이 ‘수도 개성’에서 조선 건국 이후 경기 지역의 하나인 ‘지방 개성’으로의 새로운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특히 그 시기로 임란 이후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기에 집중하였다. 조선 개국 이래 개성은 전 왕조의 수도, 곧 ‘구도(舊都)’의 이미지 속에서 새 왕조의 수도인 한양과 경쟁관계를 형성하는 한편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양가적인 이미지를…
    #17세기 #송도 #개성 #기록 #충절 #풍류 #17th_Century #Songdo #松都 #Gaesong(開城)_Records #Loyalty #忠節 #Pleasure #風流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조선시대
    목재 홍여하의 「述懷」시에 반영된 사회현실
    최금자
    2020
    嶺南學
    Mokje Hong Yeo-ha as a 17th-century Korean government official, literary person, and historian (1620-1674) wrote a long poem 「Sulhoe (Recollectio…
    #Mokjae_Hong_Yeo-ha #awareness_of_times #『Mokjaejip_(Literary_Collection_of_Mokjae)』 #「Sulhoe」 #Baeyulsi_(A_style_of_Chinese_verse) #17th_century #木齋_洪汝河 #時代認識 #『木齋集』 #「述懷」 #배율시 #17세기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조선시대
    소암 임숙영 변려문의 서유체적 특징 연구(1) − 예비적 검토를 중심으로 −
    김광섭
    2020
    東洋古典硏究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17th century's Pianliwen on the basis of Nam Yong-ik’ 「Comment of Liwen(儷評)」. In t…
    #17세기 #宋·元_騈儷文 #徐庾體_騈儷文 #任叔英 #儷評. #the_17th_Century #the_Song·Yuan’_Pianliwen._Seoyuche_Pianliwen #Comment_of_Liwen #Lim_Sook-young.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조선시대
    광해군대 척신의 세력화와 상호갈등
    권은나
    2020
    대구사학
    조선시대에서 척신(戚臣)이 국왕(國王)을 보조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은 특별한 모습이 아니다. 그럼에도 본 논문에서 광해군대의 척신에 주목한 이유는 명종(明宗)대의 척신정치가 몰락한 후, 다시 재등장했던 시대적 흐름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 것이다. 이 시기는 사림세력이 명종대의 척신을 직접 제거하며 정국을 주도했기 때문에 척신의 정치 참여를 극도로 경계했다. 그렇기 때문에 척신이 정국을 독점하…
    #광해군(光海君) #척신(戚臣) #17세기 #조선중기 #Guanghaekun(光海君) #Chucksin(戚臣) #17th_century #middle_period_of_the_Joseon_dynasty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박사학위논문
    |
    선비문화
    17세기 영남지역 산수유기 연구
    김종구
    2019
    This study analyzed a travel essay collection titled Sansuyugi, written by scholars in the 17th century. Literary men (Scholars) left this collec…
    #17세기 #영남지역 #산수유기 #청량산 #지리산 #가야산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박사학위논문
    |
    고전문학
    17세기 한글 산문의 발전과 〈소현성록〉
    김미선
    2017
    본고는 <소현성록> 소재 한글 산문의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에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17세기는 고전소설사의 전환적 국면이면서, 한글 산문도 고전소설의 발전과 함께 발전이 견인되던 시기였다. <소현성록>은 서사 전개에 다양한 한글 산문 양식을 재현하고 있는 작품으로, 그 재현 양상의 전모만으로도 흥미롭다. 더욱이 한글 산문은 한문 문체에 비해서 소략한 현실에서 <소현성록…
    #<소현성록> #한글_산문 #한글 #17세기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위논문
    | 학위논문
    국내박사학위논문
    |
    고전문학
    17세기 전반기 가사 문학 연구
    박이정
    2015
    국문초록 17세기 전반기는 임진왜란이 남긴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피해를 다스리고 국가 체제와 민생 기반을 재정비해야할 시기였으나 국내외 정세는 안정을 찾기보다는 불안한 방향으로 흘러갔다. 몇 차례의 전쟁과 정권 교체 가운데 17세기 전반기를 살았던 사람들은 폭력, 파괴, 무질서를 경험했다.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폭력적 사태 앞에 규범적인 세계가 붕괴되는 것을 경험했으며, 그것은 한 번에 …
    #한국문학 #고전시가 #가사 #17세기 #자연 #변란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First PagePreview Page1234Next PageLast Page총 32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