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The Korean Studies Content
MKSDB / DB / 한국학 연구논문 콘텐츠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DATABASE
  • 종류별
  • 시대별
  • 주제별

Korean Studies Content 20,231
Sort
Most recent publication year
  • 학술지
    |
    한일관계사
    조일 국교회복에 관한 에도시대의 역사서술 : 17세기의 성립과정을 중심으로
    이해진
    2022
    한일관계사연구
    This article focuses on the historical descriptions of Japan in the 17th century, which describes the restor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Restoration_of_the_diplomatic_Relation_between_Joseon_and_Japan #Historical_Descriptions #Edo_Bakufu #Tsushima_Clan #17th_Century #조일_국교회복 #역사서술 #에도막부 #쓰시마번 #17세기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조선시대
    조선시대 17세기 한글 간본문헌의 서체특징과 서예사적 고찰
    박정숙
    2022
    서예학연구
    In this study, I tried to figure out the transition process of Hangeul calligraphic styles from the Hangeul creation in the 15th century to the b…
    #17th_Century #Published_Documents #Hangeul_Calligraphic_Styles #Hangeul_Calligraphy_History #Formative_Beauty_of_Hangeul. #17세기 #간본문헌 #한글서체 #한글서예사 #한글_조형미.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고려시대
    17세기 송도 기록에 나타난 개성 이미지의 형성 -고려의 수도에서 조선의 경기로-
    노경희
    2020
    韓國漢文學硏究
    본고는 고려 500년의 수도였던 개성이 ‘수도 개성’에서 조선 건국 이후 경기 지역의 하나인 ‘지방 개성’으로의 새로운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특히 그 시기로 임란 이후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기에 집중하였다. 조선 개국 이래 개성은 전 왕조의 수도, 곧 ‘구도(舊都)’의 이미지 속에서 새 왕조의 수도인 한양과 경쟁관계를 형성하는 한편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양가적인 이미지를…
    #17세기 #송도 #개성 #기록 #충절 #풍류 #17th_Century #Songdo #松都 #Gaesong(開城)_Records #Loyalty #忠節 #Pleasure #風流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 학술지
    |
    문집
    17세기 김성달,이옥재 부부의 부부생활과 수창 한시의 특징
    문희순
    2013
    인문학연구
    부부가 일상생활 속에서의 모습을 시로 표현하고 부부시집으로 엮어 낸 사례는 金盛達(1642-1696)ㆍ李玉齋(1643-1690) 부부의 『安東世稿』가 유일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옥재의 경우는 개인문집으로 엮어질 만큼의 작품 분량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개인 문집이 아닌 부부의 시집으로 묶이었다. 이는 이옥재와 김성달의 시가 부부생활 속에서 수창되었고, 작품의 양이 부부의 시집으로 묶일 만큼 …
    #김성달 #이옥재 #17세기 #부부시집 #안동세고 #가족문학 #Seongdal_Kim #Okjae_Lee #17th_Century #Ahn-Dong_She-_Goh #Ohdu-ri
    View Detail View Original Text

First PagePreview Page1Next PageLast Page총 4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