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종석2016사회와 철학여기에서 필자는 다산 정약용을 중심으로 천주교와 유교의 만남이 한국 근대성의 고유한 성격을 해명하는 작업에 어떤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려 한다. 이런 문제의식을 좀 더 명료하게 하기 위해 다산학의 실천 지향적 윤리관이 어떤 점에서 상제(上帝), 인(仁) 그리고 서(恕)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담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다산의 새로운 실천적인 윤리이론이 어떤 점에서 사회구원을 지향하는 …
-
김영우2014율곡학연구실학의 집대성자로 평가되는 다산 丁若鏞(1762-1836), 그의 사상적 연원을 퇴계 李滉(1501-1570)과 율곡 李珥(1536-1584) 가운데 어느 쪽에 둘 것인가 하는 문제는 그 동안 학계에서 논쟁거리가 되었다. 본 연구는 다산의 실학 사상을 율곡 또는 퇴계 어느 한쪽의 영향으로만 보려는 것은 후대의 당파적 시각을 반영한 것이라는 입장에서 다산의 율곡과 퇴계의 사상에 대한 비판과 계승의 측면…
-
강여진1992본고는 아직까지 평가가 엇갈리고 있는 다산의 사상에 좀더 설득력있는 입장을 제시하려는 의도에서 쓰여졌다. 그리고 실학의 집대성자로서의 다산의 사상은 일반적인 실학의 성격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하나의 예증이 되며, 역으로 실학사상은 다산의 사상에 의해 좀더 명확…
-
이원영1983本 硏究는 茶山 丁 若鏞의 思想가운데「民」의 觀念이 어떠한 歷史的 文脈속에서 成立된 것이고, 그의 哲學的 思考 및 人間論과는 어떠한 연관을 가지고 있으며, 또 그의 政治社會論에서의「民」의 觀念의 特質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考察해 가고자 하는 것이다. 古代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