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희2021동서철학연구본 논문은 『순언』에 나타나는 군주의 덕 갖춤이 갖는 정치적 의미를 율곡의 경세관 속에서 고찰하고, 그 의미의 사회적 발전 양상을 양민에 대한 율곡의 인식과 연계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시대 리학를 중심으로 하는 본질주의의 확대 과정은 고려시대를 거처 조선사회에 토착화된 조선 성리학의 역사적 변천의 과정에 대한 내용을 갖는다. 그리고 이것은 조선 초·중기 사회의 현실정치 속에서 변모한 …
-
이주선2020효(孝), 제(悌), 충(忠), 신(信), 예(禮), 의(義), 염(廉), 치(恥) 여덟 자의 유교문자도 중 “충(忠)” 의 양상에 퇴계와 율 곡 사상이 미친 영향을 추정하고 밝히기 위해 역사와 자연환경을 정리하고 유교 문자도의 등장과 배경을 고찰하며, 민…
-
이민경2020율곡학연구Yulgok(栗谷) Yiyi(李珥)'s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is a text that has been studied a lot so far, but it has mostly focused on pedagogical approaches,…
-
이종일2018The thesis is to reflect on the thoughts of Toegye, Yulgok, and Dasan from contemporary social welfare perspective and cluster them into the cate…
-
마용철2016본 논문은 栗谷의 性理說과 經世論과의 상관관계를 해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栗谷의 『聖學輯要』내용분석을 중심으로 기질변화를 중시하면서 理氣의 不雜과 不離의 균형성을 강조하는 理氣之妙적 思惟方式과 政治思想의 상관관계를 밝히는데 주안점을 두고 그의 政治思想을 분석하고 있다. 특히 氣質變化와 更張論, 理氣之妙적 思惟와 朋黨論의 관계에 대한 糾明에 초점을 맞추었다. 栗谷의 理氣之妙는 “道가 또한 器요, …
-
이정효2015『성학집요』는 宣祖 9~16년 사이에 황해도 해주에서 처음 목판본으로 간행되었고, 仁祖 10년(1632)에 다시 해주에서 목판본이 간행되었다. 顯宗 7년(1666)경에는 전라도 전주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에도 肅宗 22년과 英祖 8년 그리고 光武年間에 금속활자본으로 네 차례 이상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英祖 25년(1749)에는 『율곡선생문집』에 수록되어 栗谷全書字本으로…
-
진영미2015율곡학연구본고에서는 먼저 율곡의 생평(生平)과 사상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이어 『정언묘선』에 대한 서지적 검토와 함께 중국시선집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정언묘선』의 편찬 의의를 고찰하였다. 『정언묘선』은 조선시대 문신이며 학자인 율곡 이이가 1573년 38세 때 편찬한 중국시선집이다. 서두에 「정언묘선서」가 있고, 이어 원자집·형자집·이자집·정자집·인자집·의자집·예자집·지자집 등 8개의 ‘자집(字集)’으로…
-
김영우2014율곡학연구실학의 집대성자로 평가되는 다산 丁若鏞(1762-1836), 그의 사상적 연원을 퇴계 李滉(1501-1570)과 율곡 李珥(1536-1584) 가운데 어느 쪽에 둘 것인가 하는 문제는 그 동안 학계에서 논쟁거리가 되었다. 본 연구는 다산의 실학 사상을 율곡 또는 퇴계 어느 한쪽의 영향으로만 보려는 것은 후대의 당파적 시각을 반영한 것이라는 입장에서 다산의 율곡과 퇴계의 사상에 대한 비판과 계승의 측면…
-
손흥철2013율곡학연구栗谷李珥(1536∼1584)의 經世觀은 철저하게 君主·士林(官僚)·百姓의 소통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그 가운데서도 율곡은 君主의 역할을 매우 중시한다. 율곡의 道學政治의 신념에 따라 聖人君主를 주장한다. 따라서 군주는 최선을 다하여 修身과 修養을 해야 하며, 현명한 臣下를 등용하고, 백성들의 소리를 적극 수렴해야 한다. 이것이 王道政治를 실현하기 위해서 군주가 해야 하는 소통의 정신이다. 신하(선비,…
-
김경호2009泰東古典硏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