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鄭忠信, 1894, 晩雲集
    한국문집총간 제83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후손 봉현(鳳鉉) 등이 1894년경 인행한 초간본이다. 원집 권1은 시(詩), 권2 ~ 3은 문(文)이며, 부록에 연보가 실려 있다. 원집3권ㆍ부록3권 합2책(122판)의 활자본이다.

  • 鄭忠弼, 1881, 魯宇集
    조선 시대 노우(魯宇) 정충필(鄭忠弼, 1725~1789)의 문집이다. 본집은 동생 동필(東弼)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유규(柳규(氵+奎))의 교감ㆍ정리를 받은 고본을, 저자의 5대손 석호(錫祜)가 1881년 경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初刊本)이다. 본집은 6권 3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 이돈우(李敦禹)가…

  • 鄭侙, 1833, 愚川集
    조선 시대 우천(愚川) 정칙(鄭侙, 1601~1663)의 문집이다. 본집은 손자 창흥(昌興)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1721년 이재(李栽)의 교감을 거친 후, 저자의 6대손 내천(來川) 등이 1833년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7권 4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권수에 1721년에 이재(李栽)가 지은…

  • 鄭琢, 1818, 藥圃集
    한국문집총간 제39집 본 문집의 저본은 영조의 명으로 후손 옥(玉)이 1760년에 간행한 원집에 후손 광익(光翊) 등이 1818년에 간행한 속집을 합부한 것으로, 원집 7권, 속집 4권 합 6책(451판)의 목판본이다.

  • 鄭太和, 간행년도 미상, 陽坡遺稿
    한국문집총간 제102집 본 문집은 저자의 가장수고(家藏手稿)를 바탕으로 아들 재륜(載崙)이 수집ㆍ정리한 고본(稿本)에 관계 기록이 추보되어 철종 연간에 전사(轉寫)된 괘인사본(罫印寫本)으로 그 서사경위(書寫經緯)는 분명하지 않다. 원집15권, 부록 합7책(561판)이다.

  • 鄭誧, 1609, 雪谷集
    Koryŏ
    한국문집총간 제3집 본 문집의 저본은 아들 樞가 수집ㆍ편차하여 초간한 뒤, 후손 逑가 1609년 저자 子孫의 시문을 모아 합편ㆍ간행한「西原世稿」중에서 발췌한 것이다

  • 鄭必達, 1902, 八松集
    조선 시대 팔송(八松) 정필달(鄭必達, 1611~1693)의 문집이다. 본집은 9대손 재성(之栻)이 산일되고 남은 가장초고와 방손 광두(光斗)의 등사본을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곽종석(郭鍾錫)의 산정을 거쳐 1902년 진양 용산재에서 활자로 인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7권 3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곽종석이 190…

  • 鄭海弼, 1903, 照菴集
    조선 시대 조암(照菴) 정해필(鄭海弼, 1831~1887)의 문집이다. 저자의 장자 유원(逌源)이 유문(遺文)을 수습하고 송병선(宋秉璿)에게 산정(刪定)과 서문(序文)을 부탁하여 정리하였고, 이후 1903년 저자의 장손 운목(雲穆)이 선조 정철(鄭澈)의 《송강집(松江集)》에 장자 정기명(鄭起溟)의 유고(遺稿) 《화곡유고…

  • 鄭赫臣, 1845, 性堂集
    조선 시대 성당(性堂) 정혁신(鄭赫臣, 1719~1793)의 문집이다. 본집은 외손 김박연(金博淵)이 산일되고 남은 가장초고(家藏草稿)를 바탕으로 정리한 것을 손자 호건(浩乾)ㆍ호곤(浩坤)이 1845년 정리자(整理字)로 인행한 초간본(初刊本)이다. 본집은 5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수(卷首)에 1845년 홍직필(洪…

  • 鄭澔, 1756, 丈巖集
    한국문집총간 제157집 본 문집은 저자의 아들 희하(羲河)가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 편차한 정고본을 종손 안동 부사 실(宲)이 1756년에 철활자로 간행한 초간본으로, 26권 15책(1,112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