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趙聖期, 1710, 拙修齋集
    한국문집총간 제147집 본 문집은 숙종 연간에 한구자(韓構字)로 초간된 후 저자의 아들 봉화 현감(奉化縣監) 정례(正禮)가 묘도문(墓道文)을 추가하여 1710년 봉화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중간본으로, 12권 6책(467판)이다.

  • 趙晟漢, 1881, 東山遺稿
    조선 시대 동산(東山) 조성한(趙晟漢, 1628~1686)의 문집이다. 본집은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1881년 이후에 활자로 인행한 초간본으로 그 인행경위는 분명하지 않다. 본집은 4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권수에 총목이 있다. 권1은 시, 서(書)이다. 정운한(鄭雲翰), 정운박(鄭雲搏) 등과 교유한 …

  • 趙秀三, 1939, 秋齋集
    한국문집총간 제271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시문(詩文)을 김진항(金晉桓)이 편차하고 장홍식(張鴻植)ㆍ이주완(李柱浣)이 교정하여 김진항의 아들 김낙훈(金洛勳)이 1939년 자신이 경영하는 경성(京城)의 보진재(寶晉齋)에서 연활자(鉛活字)로 인행(印行)한 초간본(初刊本)으로, 8권 4책(373판)이다.

  • 趙述道, 간행년도 미상, 晩谷集
    조선 시대 만곡(晩谷) 조술도(趙述道, 1729~1803)의 문집이다. 종자 거신(居信)이 수습 정리하여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의 교수(校讎)와 서문을 받았으나 정종로, 신체인(申體仁), 거신의 제문 등 부록문자는 수록되지 않은 채, 1821년에 17권 9책의 목판으로 간행된 것이다. 본집은 17권 9책으로 구성되…

  • 曺植, 1604, 南冥集
    한국문집총간 제31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정인홍(鄭仁弘)이 1604년 간행한 초간본에 문경호(文景虎)가 1609년 보유(補遺)를 편차,추각한 중간본(重刊本)으로, 원집 4권, 행장(行狀), 묘비문(墓碑文) 합 3책(210판)의 목판본이다.

  • 趙旅, 1901, 漁溪集
    한국문집총간 제11집 본 문집의 저본은, 원집(原集)은 9대손 영석(榮祏)과 족인(族人) 야(埜)가 수집하고 부록(附錄)을 붙여 1742년 안음(安陰)에서 간행한 重刊本이고, 속집(續集)은 후손 석규(錫奎)ㆍ성호(性昊)ㆍ성순(性恂) 등이「생육신선생집(生六臣先生集)」에 수록된 어계유고(漁溪遺稿)를 바탕으로 原集 第3卷으로…

  • 趙榮祏, 간행년도 미상, 觀我齋稿
    조선 시대 관아재(觀我齋) 조영석(趙榮祏, 1686~1761)의 문집이다. 본집은 저자가 자신의 시문(詩文)을 편차하여 수서(手書)한 자편차(自編次) 수고본(手稿本)이다. 본집은 4권 2책으로 되어 있다. 권1은 신임사화(辛壬士禍)에 연루된 이희조(李喜朝)의 신원을 청하는 소(疏) 1편과 시(詩)이다. 시(詩) 가운데 …

  • 趙榮順, 1824, 退軒集
    조선 시대 퇴헌(退軒) 조영순(趙榮順, 1725~1775)의 문집이다. 본집은 중자 정철(貞喆)이 수집(蒐集)ㆍ편차(編次)하여 1824년경 전사자(全史字)로 인행(印行)한 초간본(初刊本)이다. 본집은 7권 3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卷首)에 김이양(金履陽)이 쓴 서문(序文)과 총목(總目)이 있고, 권별(卷別)로 목록(目…

  • 趙又新, 1807, 白潭遺集
    조선 시대 백담(白潭) 조우신(趙又新, 1583~1650)의 문집이다. 본집은 저자의 장손 조성한(趙聲漢)이 수집ㆍ편차한 고본을 바탕으로 증손 혜(惠)가 1722년 시문과 관계기록(關係記錄)을 수집ㆍ재편하고 혜의 아들 양진(陽晉)이 선사한 고본을, 1807년경 후손 주(邾)가 활자로 인행하였다. 본집은 4권 2책으로 되…

  • 曺友仁, 간행년도 미상, 頤齋集
    조선 시대 이재(頤齋) 조우인(曺友仁, 1561~1625)의 문집이다. 본집(本集)은 이식(李植)의 찬정(撰定)을 거친 고본(稿本)을 목판(木板)으로 간행(刊行)한 초간본(初刊本)으로, 그 간행경위(刊行經緯)는 분명(分明)하지 않다. 본집은 2권 2책으로 되어 있으며, 서문(序文)과 발문(跋文)은 없다. 권1에는 오언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