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정빈2021역사와 교육현행 역사교과서의 한국사 체계를 검토하고 그 계보를 추적하였다. 특히 고대사 체계에 주목하였다. 현행 역사교과서는 「고대사-중세사-근대사-현대 사」의 시대구분 속에서 「고조선-여러 나라-삼국-남북국」의 고대사 체계를 공 유하고 있다. 이 중에서 고조선과 여러 나라는 선후 계통으로 설명된다. 청동 기시대 고조선을 철기시대의 여러 나라가 계승하였다고 하였다. 청동기시대 여러 나라의 국가형성과 다양한 ...
-
양민영2019본 연구는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태동기라고 할 수 있는 제1차·제2차 미술과 교육과정기 미술교육의 양상에 대한 연구로 수행되었다. 질적 연구에 기반을 두고 있는 역사적 탐구 방법은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 기록된 문서, 실제 창작물 등을 통해 잠정적인 결론을 도출한다. 연구 문제는 세 가지로 정하였다. 첫째, 제1차·제2차 미술과 교육과정의 역사적 전개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성취하려고 했던 핵...
-
조영광2019인문사회 21This article is designed to analyze Korean ancient history part of the recently revised 2015 national history curriculum. Through a comparative...
-
최덕수2017한국사학보이 논문은 대한제국 시기에 흥사단이 설립하여 운영한 융희학교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자료로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융희학교의 『學事書類』를 활용하였다. 융희학교의 『學事書類』는 전체 15권 분량으로, 융희학교 설립 직후 시기인 1908년 9월부...
-
김기엽2017본고는 인류의 지혜와 통찰이 담긴 고전의 다양한 교육적 가치와 효용성을 밝히고, 각 분야의 전문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교육방안을 연구하는 데에 목표를 두었다. 이에 현행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고전수필의 양상을 살피고 제한적인 주제의식의 ...
-
한정민2015문학지식은 문학능력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문학지식을 함양하는 일은 문학능력을 신장시키는 일이라 할 수 있으며, 문학지식의 함양 여부를 평가하면 곧 문학능력의 신장 결과를 파악할 수 있다. 문학교육의 목적은 문학능력 신장에 있고 문학교육 평가는 문학능력의 신장 결과를 파악하는 것임을 감안하면, 문학지식의 함양 여부를 평가하는 일은 문학교육 평가의 한 국면이 되기에 적절하다. 본 연구는 텍스트...
-
안종욱2012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현재까지 알려진 것과는 달리 고등학교 ‘경제지리’는 해방 직후 교수요목기에 이미 교과서가 발간되었으며, 문교부의 인정심의를 받아 학교 현장에서도 사용되었다. 또한, ‘경제지리’ 내용은 1950년대에는 대학입학 검정고시, 고등고시 행정과 등 각종 시험에서도 ...
-
강명숙2010교육사학연구일제시대 초등 교육과정은 칙령인 조선교육령, 조선총독부령인 보통학교규칙·보통학교규정·소학교규정·국민학교규정, 각과 교수요목이라는 조선총독부훈령으로 제시되었다. 일제 후기로 갈수록 교육과정은 조선총독부령과 훈령을 법적 근거로 하여 제시되어, 법적 근거의 수준...
-
김해용2010본 연구는 조선 시대 서원 교육의 변천 모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원 교육의 성립과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사회ㆍ경제적 변화가 서원의 교육활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를 살펴보고 그 변화의 모습을 구체화시키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변화의 모습을 살피기...
-
최성환2010본 논문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광복 이후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의 교육과정과 고전소설의 변천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고전문학교육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장과 Ⅲ장에서는 교육과정별 특징과 방향 그리고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소설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과도기시절은 일제의 억압에서 벗어나 우리말과 글을 되찾는 것이 목표였다. 한국전쟁으로 문학자체의 예술성보다는 애국심과 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