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한빈2022한일관계사연구This study confirmed the specific contents of calligraphy cultural exchanges through correspondence events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nd t...
-
이승민2022동국사학In traditional society, writing brush and ink stick(墨) have important meaning as a tool of record and expression. In Korea, ink sticks have bee...
-
임영현2021한일관계사연구본고는 조선 후기 통신사행 준비 단계 문서 검토를 통하여 1811년 사행준비 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 후기 통신사행 준비 단계 문서는 원역 구성 문서, 물적 구성 문서, 공무여행을 위한 문서로 구분할 수 있다. 원역 구성 문서에는 都口傳手本과 口傳別薦單子가 있다. 도구전수본은 사행원의 선발을 마친 후 국왕의 재가를 얻기 위하여 작성하는 문서이다. 구전별천단자는 정사・부사・종사관이 각각 자...
-
심민정2021한일관계사연구1682년 ‘통신사’는 초량으로 신왜관이 이건된 후 외교질서 재편이라는 임무를 수행하는 역할이 부가되었다. 이 사행에서는 왜관 내 대마도인을 통제하기 위해 癸亥約條나 約條制札의 내용 결정 뿐 아니라 추가로 약조가 체결된 흔적을 찾을 수 있는데, “壬戌約條”가 그것이다. 임술약조는 조선으로 왕래하는 차왜를 정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계해약조나 무오절목, 특히 왜관에서의 일본인 통제...
-
한태문2021한국민족문화이 글은 1682년 통신사 필담창화집인 『和韓唱酬集』의 형성배경과 형식·내용상의 특징 및 양국 문화교류의 구체적 양상 등을 살폈다. 첫째,『和韓唱酬集』의 형성배경이다. 임술통신사로 일본에 파견된 조선의 문사들은 뛰어난 문화역량을 바탕으로 필담과 창화를 통해 일본의 문사들과 교류했고, 그 결과 수많은 필담창화집이 산출되었다. 京都의 출판사 丁子屋은 일본 독자층의 요구에 따라 이들 개인 필담창화...
-
조영심2014본 논문에서는 1711년 신묘사행의 정사 趙泰億(1675∼1728)의 사행문학을 통해 그의 대일관을 연구하였다. 1711년 신묘사행은 임란 이후 시작된 조선후기 통신사행에 있어서 시기적으로 중간에 놓인 사행이며, 회차로는 여덟 번째 사행이다. 조태억은 정사로 일본을 사행하며 그 체험을 개인문집인 『謙齋集』6, 7, 8권에「東?錄」으로 남겼다. 그러나 『겸재집』이 미간행 문집인데다가 「동사록...
-
洪性和2012한일관계사연구本考는 임진왜란 이후 정례화 되었던 조선후기 通信使의 通信使行錄을 중심으로 하여 使行錄에 보이는 고대사 관련 기록을 통해 한국과 일본의 양국 간에 나타나고 있는 古代史像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通信使行錄에서 고대사와 관련된 기록은 대체적으로 神功의 삼한정벌 관련 기록, 渡倭人 관련 기록, 한반도 국가의 일본 침공 관련 기록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비록 단편적이기는 하지만, 이론에...
-
하우봉2011朝鮮時代史學報본 논문의 목적은 외교의례라는 키워드를 통해서 조선시대 한일관계사의 일면을 파악해 보려는 것이었다. 근세 조·일 외교의 장에서도 의례문제는 중요시되었고, 때로는 외교분쟁으로 번지기도 하였다. 통신사외교는 양국 간의 善隣友好를 상징하는 것이었지만 내면적으로는...
-
정은주2011동아시아 문화연구본고에서는 계미통신사행과 관련하여 일본에서 제작한 賓禮관련 기록화와 통신 사절의 행렬도 그리고 일본의 교유 문인들의 문집에 포함된 통신사절의 인물화를 분석해 봄으로써 계미통신사행의 문화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계미통신사행에 대한 빈례 관련 기록화와 일본 문인들과 시문수창이나 서화를 통한 문화적 교류의 결과물은 일본 현지에 다수가 남아 있다. 빈례 관련 기록화는 주로 사행노정을 그...
-
하우봉2011朝鮮時代史學報본 논문의 목적은 외교의례라는 키워드를 통해서 조선시대 한일관계사의 일면을 파악해 보려는 것이었다. 근세 조·일 외교의 장에서도 의례문제는 중요시되었고, 때로는 외교분쟁으로 번지기도 하였다. 통신사외교는 양국 간의 善隣友好를 상징하는 것이었지만 내면적으로는 대립과 갈등이 적지 않았다. 조선시대 외교의례를 둘러싼 교섭과 전개과정은 한일외교사의 가장 치열한 현장이라 할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의 관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