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경옥2020비교일본학[과학]은 근대 이전부터 한국과 중국에서 [과거제도를 위한 공부, 과거 공부를 위한 학교] 라는 의미로 사용하던 단어였다. 근대적 의미의 [과학]은 [science]의 번역어로 채용되면서, [진리 탐구를 목적으로 하는 학문의 기본적 프레임(틀)]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실증적이고 논리적인 것을 추구하는 근대기의 학문 탐구는 무엇을 탐구했는가에 따라 학문을 분류할 필 요가 있었는데, 학문 분류의 틀...
-
권희주2014일본연구본고는 근대 일본의 교과서 검정시기 『고등소학독본(高等小學讀本)』(1888-1889)에 나타난 동아시아관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888년에 간행된 『고등소학독본』은 문부성(文部省)에서 검정제도를 시행한 뒤 야심차게 편찬한 독본용 교재로 검정시기 ...
-
이혜령2012民族文化硏究임종국의 친일파연구를 중심으로 한 역사서술은 광범한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학계에서 충분히 논구되지 못했다. 그 이유는 그의 역사서술이 ``전`` 양식을 취할 만큼 이야기하기 혹은 문학적 서술방식을 배제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다 도덕적 담화이기를 거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과학적일 것을 요구받는 근대의 역사학에서 소외되었지만, 이 글은 그러한 특징이 근대성과 문명화 담론이 지배하고 있는 최근...
-
이종묵2011韓國 詩歌硏究동아시아에서 한시는 同文意識을 바탕으로 한 보편적 가치를 가졌기에 한시의 제작 능력이 문명의 지표로 인식되었다. 이에 따라 明에서 온 사신과 朝鮮문인이 서로 만나 漢詩를 제작하는 것은 단순한 유흥이 아니라 文明의 고하를 두고 벌인 대결이라 할 만하다. 한편 조선으로 온 중국의 문사들이 조선의 시를 채집하여 중국에 가져가고 또 중국에서는 역대 중국의 한시를 정리하면서 조선의 시를 채집하여 포함하고자...
-
권창규2011광고는 오늘날 사람들의 눈길과 발길이 향하는 곳마다 포진해있고, 지금으로부터 8,90여 년 전 근대광고의 성숙기였던 1920,30년대부터 소비주의의 발단을 확인할 수 있다. 1920년대는 매체의 발달기였으며 30년대는 근대 광고의 전성기를 맞았다. 민간 매체의 정착과 함께 했던 광고는 매체의 상업화경향을 주도했으며 그 결과 광고주가 부족했던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광고가 범람했다. 매체와 그 ‘물...
-
이영아2010한국문화This study examined how the Korean modern intellectuals saw the body of "the Other" in 1910s. In 'Cheongchun(靑春)'and 'Hakjikwang(學之光)', the Kor...
-
박상민2009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symbols of evil in Park Kyong Ni's novel, 〈Toji(土地 The Land)〉. This is to consider how the motif of ‘Evil’ is ...
-
김중철2005한국민족문화This study aims at studying the aspect of the urban image and the experience nature in early modern korea that appears in writings of tha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