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도경2021한국문예비평연구이 논문에서는 1923년의 『新潮』 합평회와 1925년의 『조선문단』 합평회에서 제기되었으나 진지하게 검토되지 못했던 주제에 주목하여 한일 양국 문단에서 합평회라는 사건이 어떤 의미였는지, 어떤 효과를 발생시켰는지를 고찰하였다. 『신조』 합평회에서는 문예의 새로운 역할, 문예와 생활의 관계에 대한 질문이 합평회의 안팎에서 제기되었으나, 제대로 논의되지 못한 채정리되어 버렸다. 논자들은 훼손되지 않...
-
유정선2020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This paper analyzed the multi-layered desires of women projected on the hwajeonga of the 1920s and 30s. This started from the problem of focusi...
-
권선정2020문화 역사 지리This study explored common tendencies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Eupchi, the regional administrative center of the Joseon Dynasty, centering...
-
권선정2018지명학본 연구에서는 근대 이전 정상적으로 공유되어 온 풍수의 재현물로서 고지도에 등장하는 풍수 지명을 통해 전통지리 풍수의 특징적 모습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고지도가 집중적으로 제작되는 조선후기는 풍수 역사상 ‘명당풍수(明堂風水)’가 전국적으로 정상화되는 ...
-
김민아2016문학과종교몽골의 영웅서사시인 『장가르』에는 칼미크-오이라드 민중들이 꿈꾸는 상황이 봄바국에서의 ‘잔치’로 그려진다. 이 잔치는 먹을 것과 마실 것이 풍부하고, 나라 의 영웅들 간에 평등한 소통이 이루어지는 시공간이다. 이 잔치로부터 멀어지는 것은 전쟁을 의미하고, ...
-
최원석2016남명학연구조선시대의 고지도는 당시의 자연인식, 문화와 경제, 정치‧행정과 국방, 지명 및 지리정보 등을 총체적으로 재현하고 있는 경관텍스트이다. 이 글은 남해안 및 진주를 사례로 조선후기의 지도상에 재현된 지역경관에 관해 역사지리적인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
-
양근애2016본고는 한국 역사극의 발생과 장르 형성 과정을 고찰하고 일제 식민지부터 해방기에 이르는 기간 동안 역사극이 재현되는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역사극의 구조와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근대초기 민족사학의 전개와 ‘역사-이야기’의 대중화를 역사극 발생의 조건으로 삼아 역사적 사실뿐만 아니라 문화적 기억을 형성하는 고전, 전통, 민속 등을 포괄하는 한국 역사극의 독특한 형성 과정을 추적하였...
-
최원석2016남명학연구조선시대의 고지도는 당시의 자연인식, 문화와 경제, 정치‧행정과 국방, 지명 및 지리정보 등을 총체적으로 재현하고 있는 경관텍스트이다. 이 글은 남해안 및 진주를 사례로 조선후기의 지도상에 재현된 지역경관에 관해 역사지리적인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고지도를 지리정보의 사실적 표현 및 시간단 면의 누적이라는 차원을 넘어 사회관계의 재현물이자 해석적 텍스트로 까지 포 괄적인 스케일로 접근했다...
-
전경숙2015한국도시지리학회지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를 사례로, 읍성 공간의 형성·해체·재현을 역사적 맥락에서 고찰하였다. 18~19세기 초 자료에 의하면 당시의 읍성 공간은 정치·행정적 기능지역이면서, 왕조 권위의 상징적 공간이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성곽 해체와 함께 식민지 공...
-
박선지2015복식은 특유의 미적 감각 전달과 함께 한 개인, 사회, 시대의 정신이나 기질, 성향이나 정서, 가치내지는 신념 등 다양한 요소들을 시각적 재현을 통해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여성의 복식은 역사적으로 그 사회의 이데올로기, 계급, 규율, 미의식 등에 많은 영향을 받아왔으며 이를 통해 당시의 여성성을 해석할 수가 있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의 시각매체를 통해 일제가 추구했던 식민지배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