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윤덕이 충청도 비인 등지에서 성을 쌓다.
도순문사 최윤덕(崔閏德)이 경상도의 연일(延日)․곤남(昆南)․합포(蛤浦)와 전라도의 임피(臨陂)․무안(務安)․순천(順天)과 충청도의 비인(庇仁)․보령(保寧) 등의 성을 쌓았다. 이 공사를 진행함에 있어서 부종관(副從官)을 시켜 창기를 데리고 연회를 베풀어,...
-
경상도 연일현 등의 축성작업에 대해 의논하다.
공조에서 경상도감사의 관문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연일현(延日縣)은 그 전에 있던 성이 아직 튼튼하오니, 청하건대, 풍년을 기다려 다 쌓기로 할 것이며, 합포(合浦)는 도절제사의 본영(本營)이요, 한 지방의 큰 진영(鎭營)이며, 곤남(...
-
성을 쌓는 군민을 관리하는 문제를 논의하다.
우의정 최윤덕․형조 판서 정흠지 등이 의논하여 아뢰기를,
“1. 이 앞서 성을 쌓을 때에 날수를 한정하여 백성을 부렸기 때문에, 각 고을의 무식한 감고(監考)지인(知印)조선시대 함경도, 평안도에 둔 향리(鄕吏). 지방관의 관인(官印)을 맡아보았다. ...
-
정인지 등이 양계와 각 지역 연변의 방비 등에 대한 일을 아뢰다.
영의정 정인지(鄭麟趾) 등이 순찰사 박강(朴薑)과 구치관(具致寬)의 계본에 의거하여 의논하였는데, 의논은 이러하였다.
“여러 포는 밖의 번리(藩籬)이요, 여러 진은 다음의 번리입니다. 대저 촘촘하려고 한다면 성기게 하려고 하지 않는 법인데, 촘촘하면...
-
병조에서 여러 진에 인을 주조하여 줄 것을 아뢰다.
병조에서 경상도절제사의 계본에 의거하여 아뢰기를,
“안동부(安東府)가 비록 거진(巨鎭)이 되지마는 다른 동래(東萊) · 연일(延日) 등 군사가 있는 여러 진의 예는 아니니 군관을 둘 필요는 없습니다. 만약 군정의 공사를 맡아 볼...
-
경리가 황조에 제본을 올리다.
경리가 황조에 제본을 올리기를,
“경리조선순무(経理朝鮮巡撫) 양호(楊鎬)는 일본의 적추를 거의 사로잡게 되었는데 그들의 외원병이 갑자기 들이닥쳤으므로 삼가 환사하게 된 편의에 대해 진달합니다. 아울러 신의 심정을 피력하니, 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