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호군 이진이 상소한 전라도 신 관영의 지리적 ․ 군사적 단점에 대한 개선 방안.
대호군 이진(李秦)이 상서하기를,
“신 진이 근일에 명령을 받잡고 강진(康津) 땅에 가서 읍성을 쌓을 만한 곳을 보다가, 그 길에 전라도의 원수부(元帥府)가 전날의 도강현(道康縣)에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윽이 생각하건대 조정에서 연해변을 위하여 ...
-
비변사가 생포한 왜인을 서울로 압송하라는 명이 불가함을 아뢰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생포한 왜인【보길도(甫吉島)에서 잡았다.】을 서울로 올려 보내게 하라고 전교하셨는데 허다한 왜인을 잡아오게 되면 잡아올 때에 역로에 폐해가 있을 뿐만이 아닙니다. 비록 추문하는 일이 있더라도 교활하고 간사한...
-
이진 ․ 변협 ․ 김명원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이진(李戩)을 제주목사로, 변협(邊恊)을 전라병사로, 김명원(金命元)을 종성부사(鐘城府使)로 삼았다.
-
비변사에서 남방 방어사의 적임자를 추천하다.
전교하기를,
“현재 이름 있는 장신이 부족한데 만약 남쪽에 사변이라도 있게 되면 원수는 누구를 시키며 방어사는 누구를 시켜야 할 것인지 서계하라.”
하니, 비변사가 회계기를,
...
-
비변사에서 무인을 불차 채용한다고 하자 각 신료들이 명단을 올리다.
비변사에게 무신을 불차 채용한다고 하자, 이산해(李山海)는 손인갑(孫仁甲)·성천지(成天祉)·이순신(李舜臣)·이명하(李明河)·이빈(李薲)·신할(申硈)·조경(趙儆)을, 심수경(沈守慶)은 이경(李景)·신할·이용준(李用濬)·박진(朴晉)을, 유홍(兪泓)은 이혼(李渾...
-
윤두수에게는 어가의 호종을 명하고 각 왕자의 호종 담당자를 정하다.
상이 윤두수(尹斗壽)에게 어가를 호종할 것을 명했다. 또 김귀영(金貴榮)과 윤탁연(尹卓然)에게는 임해군 이진(李珒)을 받들게 하고, 한준(韓準)과 이개(李塈)에게는 순화군 이보(李⿰王土)를 받들게 하여 함경북도로 나가도록 명했다.
-
경성판관 이홍업이 왕자 및 적장의 편지를 가지고 오다.
경성판관(鏡城判官) 이홍업(李弘業)이 오랫동안 적에게 잡혀 있다가 북병사 한극함(韓克諴), 남병사 이영(李瑛), 임해군 이진(李珒), 순화군 이보(李⿰王土), 상락부원군 김귀영(金貴榮), 장계부원군 황정욱(黃廷彧), 전호군 황혁(黃赫)의 서장과 적장 청정(...
-
함경도 순찰사 홍세공이 왜적이 두 왕자를 데리고 함흥부로 향했다고 치계하다.
함경도순찰사 홍세공(洪世恭)이 치계하였다.
“포로가 된 영부사 김귀영(金貴榮)의 첩자 김천(金闡)과 임해군 이진(李珒)의 종인 돌모치(乭毛赤) 등이 이달 26일 도망해 진영에 도착했습니다. 그 근본 원인을 자세히 물어보니 ‘적은 중국군이 평양을 소탕...
-
양사가 왕자를 사로잡히게 한 급제 김귀영의 찬출을 청하다.
양사가 합계하였다.
“급제 김귀영(金貴榮)이 일찍이 대신으로서 왕자를 보호하라는 명을 받들고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여 적의 수중에 빠지게 하고 자신마저 사로잡혔으니 국가의 수치됨이 그지없습니다. 그런데도 여태 군부의 원수를 전혀...
-
임해군 등이 적중에서 편지를 보내오다.
임해군 이진(李珒)과 순화군 이보(李⿰王土)가 적중으로부터 편지를 보내왔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극함(韓克諴)이 두 딸을 청정(淸正)에게 바치고 40조항의 계책을 꾀하기까지 하였으며 그 아들 한격(韓格)은 중국 및 우리나라 지도를 그에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