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호군 이진이 상소한 전라도 신 관영의 지리적 ․ 군사적 단점에 대한 개선 방안.
대호군 이진(李秦)이 상서하기를,
“신 진이 근일에 명령을 받잡고 강진(康津) 땅에 가서 읍성을 쌓을 만한 곳을 보다가, 그 길에 전라도의 원수부(元帥府)가 전날의 도강현(道康縣)에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윽이 생각하건대 조정에서 연해변을 위하여 ...
-
병조에서 각도의 내지에도 거진을 설치하고 인근 고을을 익에 분속시킬 것을 청하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각도 연해의 요해지에는 진을 설치하고 진장(鎭將)을 두어 그 방어를 견고히 하고 있으나, 내륙의 주현에는 아직 진을 설치하지 않아서 만약 구적(寇賊)이 발생하여 변진이 감히 이를 막지 못하게 되면, 반드시 ...
-
병조에서 경상도 유포 ․ 웅천과 전라도 강진에 성을 축조가 급함을 아뢰다.
경상도·전라도·충청도의 도순찰사 박강(朴薑)과 부사 구치관(具致寬) 등이 치계하기를,
“일찍이 내린 유서, ‘「경상도의 창원(昌原) · 울산(蔚山)의 연변 거읍(巨邑)에는 성보가 없을 수 없다.」 고 했는데, 의논하는 자는 말하기를, 「두 고을은 모...
-
서해의 지형과 방비 대책을 적은 도순찰사 성건의 서계.
도순찰사(都巡察使) 성건(成健)이 복명하고 서계하기를,
“남포 땅의 마량(馬梁)에 정박한 병선은 조수가 차면 뜨고, 조수가 물러가면 뭍에 있어 위급한 때에 쓰기는 어려우나, 적선도 또한 반드시 조수를 타고서 오게 되니, 이 때에 우리도 또한 응변할 ...
-
세진영의 용맹이 있는 군사들을 옮겨 각 포구의 요해지를 지키도록 청하다.
윤대를 받았다. 사도시주부(司導寺主簿) 이계의(李繼義)가 아뢰기를,
“전라도의 각 포구 중에는 준산(峻山)에서 남도(南桃)까지의 11개 포구가 가장 적이 다니는 길목의 요해지인데, 그 방어하는 군사가 모두 수군입니다. 대체로 수군은 거개가 모두 둔하...
-
영산과 법성 두 창고를 군산포로 옮기는 일에 대하여 윤필상 ․ 성준 ․ 이극균이 의논하다.
전라도관찰사 장순손(張順孫)이 아뢴, 영산(榮山)·법성(法聖) 두 곳 창고를 옥구(沃溝) 지방 군산포(群山浦)로 옮겨 설치하는 일의 편리 여부를 의논하게 하였는데, 윤필상(尹弼商)이 의논드리기를,
“지금 계본을 보니, 사세에 합당할 것 같으나, 다만...
-
경략에게 왜노에게 침탈당한 도와 침범당하지 않는 도에 대해 회자하다.
경략이 이자하였는데 대략에,
“본국의 팔도 중에 어느 도 어느 읍은 모두 왜노가 점거하였고, 어느 도는 침범 당하였으며, 어느 도는 아직 침범 받지 않았고, 어느 곳 어느 도는 전혀 지경에 들어오지 않았는가 하는 사실을 세세히 ...
-
비변사에서 외방 수령들이 함부로 형벌을 사용하는 것을 금할 것을 청하다.
비변사가 아뢰었다.
“신들이 유총병(劉總兵)의 이자를 보건대, 형벌을 완화하여 백성을 보호하도록 극언하면서 간곡히 부탁하기를 마지않았으니, 이는 바로 어진 자의 말입니다. 지난날 이제독(李提督) 이하도 우리나라의 형벌이 너무 과...
-
요동 장도사가 보내온 회자를 정원에 내려 살피게 하다.
요동의 장도사(張都司)가 보내온 회자로【중국 장관 김달호(金達湖)가 조운하여 부안(扶安)에 도착했는데 도둑을 맞았다. 장도사가 본선과 잡물을 추열하여 찾아 줄 것을 요구하면서 침책하여 마지않았다. 그래서 정적들이 모두 죽어서 추열할 수 없다는 등의 내용으로...
-
군공첩을 속히 만들어 충청도와 전라도 감사에게 보내도록 지시하다.
전교하였다.
“전일에 충청도 온양(溫陽)과 전라도 부안(扶安)에서 왜적을 포획한 군공을 올린 서장에 따라 각별히 파격적으로 논상하라고 전교하고 군공을 이미 마련해서 계하하였는데 어찌 지금까지 거행하지 않는가? 그 군공첩을 속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