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마주 종성직 등이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대마주(對馬州) 종성직(宗成職)·종성홍(宗盛弘)·호군(護軍) 평무속(平茂續) 등이 와서 토물을 바쳤다.
-
의정부와 예조에서 대마주 적수 육랑쇄문에게 관직을 제수하기를 청하다.
의정부와 예조에서 동의하여,
“대마주(對馬州) 적수(賊首) 육랑쇄문(六郞洒文)이 수직하기를 간청하니, 청컨대 적수 평무속(平茂續)의 예에 의하여 군직을 제수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
대마도 호군 평무속이 와서 토물을 바치다.
일본국 대마도(對馬島) 호군(護軍) 평무속(平茂續)이 와서 토물을 바치었다.
-
왜호군 평무속이 반열에 따라 숙배하고 토물을 바치다.
근정전에 나아가 조하를 받았다. 왜호군(倭護軍) 평무속(平茂續)이 반열에 따라 숙배하고 토물을 바치니, 명하여 앞에 나오게 하고 전교하기를,
“너희들이 매양 정성을 바치고 효순하니, 내가 즉위한 이래로 깊이 아름답게 여긴다.”
...
-
근정전에서 연회를 베푸니, 야인 ․ 왜인 등이 입시하다.
근정전(勤政殿)에 나아가서 연회를 베푸니, 효령대군 이보·임영대군 이구·익녕군 이치·계양군 이증·의창군 이공·밀성군 이침·익현군 이관·영해군 이당·의성군 이심·순성군 이애·운성부원군 박종우·화천군 권공·오산군 이주·함양경 이포·보성윤 이합·낙안윤 이몽·영천...
-
충순당에서 활 쏘는 것을 구경하고, 왜호군 평무속을 인견하다.
임금이 충순당(忠順堂)에 나아가서 활 쏘는 것을 구경하니, 종친과 재추·승지 등이 입시하였다. 왜호군(倭護軍) 평무속(平茂續)을 인견하여, 음식을 먹게 하고 의복을 내려 주었다. ……
-
왜인 평무속을 겸사복으로 삼다.
성임(成任)을 이조참판으로, 이교연(李皎然)을 사헌부 대사헌으로, 김종순(金從舜)을 도승지로, 한계희(韓繼禧)를 좌승지로, 유자환(柳子煥)을 우승지로, 김국광(金國光)을 좌부승지로, 홍응(洪應)을 우부승지로, 이문형(李文炯)을 동부승지로, 신영손(辛永孫)을...
-
사정전에서 왜인 상호군 평무속 등을 인견하다.
사정전에 나아가 왜인 상호군(上護軍) 평무속(平茂續) 등 4인을 인견하고, 예조판서 홍윤성(洪允成)에게 명하여 평무속에게 전교하기를,
“네가 전에 왔을 때, 혹은 수가도 하고 혹은 사후(射侯)도 하여, 우리나라 언어를 약간 해득하였으니, 네가 비록 ...
-
임금이 평무속에게 궁시를 내려 주다.
사정전에 나아가 상참을 받고, 정사를 보았다. 종친 및 이승손(李承孫)·김구(金鉤)·어효첨(魚孝瞻)·이석형(李石亨) 등이 입시하여 술자리를 베풀었다. 임금이 이승손에게 이르기를,
“근일 형조와 의금부에서 죄수에게 남형을 하여 발가락을 자르는 데까지 ...
-
안철손 ․ 평무속을 첨지중추원사로 삼다.
안철손(安哲孫)·평무속(平茂續)을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로 삼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