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정전에서 연회를 베푸니, 야인 ․ 왜인 등이 입시하다.
근정전(勤政殿)에 나아가서 연회를 베푸니, 효령대군 이보·임영대군 이구·익녕군 이치·계양군 이증·의창군 이공·밀성군 이침·익현군 이관·영해군 이당·의성군 이심·순성군 이애·운성부원군 박종우·화천군 권공·오산군 이주·함양경 이포·보성윤 이합·낙안윤 이몽·영천...
-
좌찬성 황수신 등을 경상 ․ 전라 ․ 충청의 모민체찰사로 삼다.
좌찬성 황수신(黃守身)을 경상도모민체찰사(慶尙道募民體察使)로, 판중추원사 심회(沈澮)를 전라도모민체찰사로, 좌참찬 성봉조(成奉祖)를 충청도모민체찰사로 삼았다. 그들이 가지고 가는 사목에 이르기를,
“체찰사(體察使)가 친히 여항(閭巷)에 이르러 그 모...
-
병조에서 전라도 백성이 바닷섬에 도망해 들어간 자가 많음을 아뢰다.
병조에서 아뢰기를,
“전라도 백성이 바닷섬에 도망해 들어간 자가 많으니, 청컨대 조관을 보내어 쇄환하게 하소서.”
하였다. 임금이 도진무(都鎭撫) 심회(沈澮) 등을 빈청에 불러서 의논하였는데, 좌찬성...
-
일본국사신들이 사배례를 마치니 불경 ․ 법책 ․ 채석 ․ 의복을 하사하다.
근정전(勤政殿)에 나아가니, 일본국 사신 준초(俊超)·범고(梵高)와 경극무위(京極武衛) 원교직(源敎直)의 사자가 모두 뜰에 들어와 사배례를 마쳤다. 일본국 사신이 들어와 전 안으로 나아가서 서향(西向)하여 자리하고, 경극무위 원교직 등의 사자와 여러 종사관...
-
김숙이 아산군은 왜선이 왕래하는 관문이므로 수령을 두어야 한다고 말하다.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서 상참을 받고 정사를 보니, 봉원부원군 정창손(鄭昌孫)·영중추원사 심회(沈澮)·청성위 심안의(沈安義)·좌참찬 최항(崔恒)·호조판서 김국광(金國光)·동지중추원사 양성지(梁誠之), 행상호군 이윤손(李允孫)·임원준(任元濬), 예조참판 김...
-
효령대군 이보가 원각경 수교를 마쳐 잔치를 베풀다.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가 일찍이 원각경(圓覺經)을 수교하였는데, 이에 이르러 일을 마치었다. 임금이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 잔치를 베풀어 위로하니, 왕세자와 이보(李補)·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 영응대군(永膺大君) 이염(李琰)·영순군(永...
-
왜인과 야인에게 화포쏘는 것을 구경하게 하다.
임금이 중궁과 더불어 충순당(忠順堂)에 나아가서 화포 쏘는 것을 구경하고, 정인지·정창손·신숙주·구치관·박원형·홍윤성·한명회·심회·황수신·최항·조석문·한계희·김국광·노사신·임원준·성임과 여러 장수·승지 등이 입시하여 술자리를 베풀었는데, 왜인과 야인에게 명...
-
경회루 아래에 나아가 유구국 사신을 연회하다.
경회루(慶會樓) 아래에 나아가서 유구국 사신을 연회하였다. 세자와 효령대군 이보(李補)·함양경 이포(李⿰言布)·하동군 정인지(鄭麟趾)·봉원군 정창손(鄭昌孫)·고령군 신숙주(申叔舟)·능성군 구치관(具致寬)·연성군 박원형(朴元亨)·영의정 심회(沈澮)·좌의정 최...
-
일본국과 야인의 사신 등을 접견하다.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 잔치를 베푸니, 효령대군 이보(李補)·하동군 정인지(鄭麟趾)·봉원군 정창손(鄭昌孫)·고령군 신숙주(申叔舟)·상당군 한명회(韓明澮)·능성군 구치관(具致寬)·연성군 박원형(朴元亨)·중추부영사 심회(沈澮)·영성군 최항(崔恒)·영의정 조석...
-
일본국 사신 융원을 인견하고 사신을 보낼 수 없음을 알리다.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 일본국 사자 중 융원(融圓) 등을 인견하고 잔치를 베푸니, 세자와 효령대군 이보(李補)·영순군 이부(李溥)·귀성군 이준(李浚)·하동군 정인지(鄭麟趾)·봉원군 정창손(鄭昌孫)·고령군 신숙주(申叔舟)·상당군 한명회(韓明澮)· 능성군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