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도 ․ 전라도 ․ 충청도 등의 관찰사 등에게 잔치를 내리다.
경상도관찰사 원효연(元孝然)·좌도 도절제사 하한(河漢)·처치사 유강(柳江)·우도 도절제사 한서룡(韓瑞龍)·처치사 이사평(李士平)과 전라도관찰사 이석형(李石亨)·도절제사 이화(李樺)·처치사 이행검(李行儉)과 충청도관찰사 정척(鄭陟)·절제사 이종효(李宗孝)·처...
-
임금이 평무속에게 궁시를 내려 주다.
사정전에 나아가 상참을 받고, 정사를 보았다. 종친 및 이승손(李承孫)·김구(金鉤)·어효첨(魚孝瞻)·이석형(李石亨) 등이 입시하여 술자리를 베풀었다. 임금이 이승손에게 이르기를,
“근일 형조와 의금부에서 죄수에게 남형을 하여 발가락을 자르는 데까지 ...
-
일본국에 줄 포화를 6백 필로 하다.
명하여 영의정 신숙주(申叔舟)·좌의정 권남(權擥)·우의정 한명회(韓明澮)·예조판서 박원형(朴元亨)을 빈청(賓廳)에 불러서 일본국에 내려줄 포화(布貨)의 숫자를 의논하니, 신숙주 등의 의논이 각각 같지 아니하였다. 한참 있다가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서 신숙...
-
진성행등이 하직하니 「여래현상도」와 ≪금강경≫을 주다.
진성행(秦盛幸) 등 6인이 하직하니,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서 인견하였다. 내종과 영의정 신숙주(申叔舟)·남양(南陽)부원군 홍달손(洪達孫)·인산군(仁山君) 홍윤성(洪允成)·청성위(淸城尉) 심안의(沈安義)·중추원사(中樞院使) 윤사흔(尹士昕)·판한성부사(判漢...
-
중궁과 더불어 희우정에서 수전을 구경하다.
임금이 중궁(中宮)과 더불어 희우정(喜雨亭)에 거둥하여 수전을 구경하니, 효령대군(孝寧大君) 이염(李琰)·영의정 신숙주(申叔舟)·좌의정 구치관(具致寬)·우의정 황수신(黃守身)·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이석형(李石亨)·호조판서 노사신(盧思愼)·대사헌(大司憲) ...
-
일본국과 야인의 사신 등을 접견하다.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 잔치를 베푸니, 효령대군 이보(李補)·하동군 정인지(鄭麟趾)·봉원군 정창손(鄭昌孫)·고령군 신숙주(申叔舟)·상당군 한명회(韓明澮)·능성군 구치관(具致寬)·연성군 박원형(朴元亨)·중추부영사 심회(沈澮)·영성군 최항(崔恒)·영의정 조석...
-
중국에 부고하고 시호를 정하게 하다.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 이석형(李石亨)을 보내어 중국에 가서 부고하고 시호를 정하게 하였는데, 의정부에서 행실을 찬(撰)하여 예부에 주달하였다.
“…… 9월 8일(갑자)에 왕이 병으로 정침에서 훙하니 향년 52세고, 재위한 지는 14년이었습니다. ...
-
명나라에 보낸 행장에 일본과의 교린에 관해 적다.
중추부지사 이석형(李石亨)·한성부좌윤 이파(李坡)를 보내어 명나라에 가서 고부(告訃)·청시(請諡)하고 또 청승습(請承襲)하게 하였다. …… 행장은 이러하였다.
“국왕의 성은 이씨이고 휘는 유(瑈)이며 자는 수지(粹之)인데, 장헌왕(莊憲王)의 둘째 아...
-
인정전에 나아가 왜인에게 공억하는 물자가 많음을 걱정하다.
인정전에 나아가서 선비들에게 책문하니, 독권관(讀卷官)인 봉원부원군 정창손(鄭昌孫)·인산부원군 홍윤성(洪允成)·판중추원사 이석형(李石亨)·지중추원사 양성지(梁誠之)가 입시하였다. 그 책문에 이르기를,
“제왕이 천하국가를 다스리는 데 반드시 그 방도가...
-
선정전에 나아가 종묘의 하향 대제를 행하고 음복하다.
선정전(宣政殿)에 나아갔다. 종묘의 하향대제(夏享大祭)를 행하고 음복(飮福)하였다. 정인지(鄭麟趾)·정창손(鄭昌孫)·신숙주(申叔舟)·한명회(韓明澮)·최항(崔恒)·홍윤성(洪允成)·김질(金礩)·윤자운(尹子雲)·서거정(徐居正)·이승소(李承召), 헌관(獻官) 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