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변사가 경성수복 때에 도체찰사의 지휘를 받도록 장수들에게 하서하라고 청하다.
비변사가 아뢰기를,
“지금 들으니 ‘고언백(高彦伯)과 이빈(李薲)이 각기 군사를 거느리고 최전방에 있고 전라감사는 고양(高陽) 해포(醢浦)에 머물고, 충청감사 허욱(許頊)과 수사 정걸(丁傑), 건의부장(建義副將) 조대곤(曺大坤)...
-
숙녕관에서 중군 방시춘을 접견하고 속히 경성을 수복할 것을 당부하다.
상이 숙녕관(肅寧館)에 행행하여 중군 방시춘(方時春)을 접견하였다. 상이 말하기를,
“폐국이 참화를 겪은 나머지 군량과 마초를 계속 공급하지 못하여 중국군으로 하여금 굶주리게 하니 미안한 심정 금할 수 없습니다.”
하니,...
-
전라감사가 보낸 행주 군공계본을 정원에 내리다.
전라감사가 보낸 행주(幸州) 군공계본을 정원에 내리면서 일렀다.
“이 군공을 속히 우대하여 마련하라. 관교 역시 속히 내려 보낼 것이며, 선온과 교서 등의 일도 속히 거행하라.”
-
신경희가 권율의 행주산성 대첩을 보고하자 전투 상황을 상세히 묻다.
전라도관찰사 겸 순찰사 권율(權慄)이 행주(幸州)에서 왜적을 대파하고, 고산현감(高山縣監) 신경희(申景禧)를 보내어 승첩을 아뢰었다. 상이 신경희에게 묻기를,
“적의 숫자는 얼마인가?”
하니, 대답하기를, ...
-
평양 수복후에 여러 장수가 경성으로 모인 일과 행주산성의 대첩에 대해 기록하다.
처음에 평양이 회복되자 여러 장수들이 많이 경성으로 모여들었다. 중국군이 개성부에 진주하자 우리나라 장수들은 차례로 전진시켜 함께 기각의 형세를 이루고 있었다. 전라도순찰사 권율(權慄)은 그의 군사 4천명을 반으로 갈라 절도사 선거이(宣居怡)로 하여금 거느...
-
유성룡이 경성의 포위 상황을 아뢰며 왜적이 합세하기 전에 토벌하자고 청하다.
도체찰사 풍원부원군 유성룡(柳成龍)이 치계 하였다.
“경성에 있는 적의 무리가 12일의 행주 전투로 인하여 사망자가 매우 많다고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망해 돌아온 사람들의 말이 모두 같습니다. 15일에 충청수사 정걸(丁傑)이 수군을 이끌고 곧바로 ...
-
헌부가 충청병사 이옥과 홍주목사 이총 등의 체직을 청하다.
헌부가 아뢰기를,
“충청병사 이옥(李沃)은 재능과 지혜가 모자라 시기에 임하여 그르친 일이 많아 도내 군민이 실망하고 있으니 혹시라도 적의 침범이 있게 되면 결단코 방어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홍주목사(洪州牧使) 이총(李璁)은 본...
-
유성룡이 경성주변의 군진상황을 아뢰다.
도체찰사 풍원부원군 유성룡(柳成龍)이 치계 하였다.
“중국군이 개성으로 퇴주하고부터 서울이 지척인데도 아직까지 수복을 하지 못하니 통분하여 죽고 싶습니다. 신이 실로 천위를 의지하여 여러 진영을 연합시켜 진취할 계획으로 삼고자 한 데다가 마침 행주의...
-
숙녕관에서 이제독을 만나 왜적과의 강화, 경성 수복 등을 논의하다.
상이 이제독(李提督)이 의주(義州)에서 온다는 소식을 듣고 숙령관(肅寧館)으로 거둥하여 기다리다가 제독이 동헌에 이르자 옷을 갈아입고 나갔다. 상이 말하기를,
“황은이 망극하니 먼저 황은에 사례를 하겠소.”
하고, 상이 ...
-
유성룡이 서울의 적세가 많이 늘었다고 보고하다.
도체찰사 풍원부원군 유성룡(柳成龍)이 치계 하였다.
“성 안의 적세에 대해 각처에서 정탐하여 올리는 보고가 날마다 들어오고 있으나 그 말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오직 고언백(高彦伯)의 군병은 모두 서울과 양주(楊州)의 백성이기 때문에 그가 정탐하여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