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인희2022한일관계사연구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citations of Hoseong, Seonmu, and Cheongnan holders who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d...
-
김문자2020한일관계사연구본고에서는 한국과 일본에서 지금까지 논의되었던 임진・정유재란의 전쟁 원인에 대해 최근 일본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정유재란 발발배경으로 논의되고 있는 일본 측의 ‘조선왕자의 來日 문제’를 하데요시가 필리핀諸島長官에게 보낸 서장을 통해 ‘조선 남부 경상도지역의 영토 확보와 무역재개’와 관련 있음을 고찰하였다. 또한 전쟁 발발 전후로 히데요시가 발급한 문서를 보면 임진왜란을...
-
Lee, Hang-Lyoul2019한국전통조경학회지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cenic Spots by utilizing the "S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and "Joseonhwanye...
-
김경태2018한일관계사연구이 논문에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강화교섭 결렬 선언 이후, 정유재란이 발발하기 전까지의 시기를 대상으로 하여 조선의 재침 대응책을 살펴보았다. 강화교섭기 통신사로 일본에 파견된 황신은 교섭상황을 상세하게 기록했다. 그의 사행록인 『日本往還日記』를 통해 강화교섭의 결렬 당시의 상황에 접근할 수 있다. 황신은 일본에서 미리 사람을 보내어 이 소식을 전하였고, 부산에 도착한 후에는 조정에 보고서를 올...
-
김문자2017한일관계사연구본고에서는 정유재란이 끝난 뒤 17세기 전반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가 에도막부(1603~1868)를 설립한 시기 동아시아 국제사회를 어떻게 인식하고, 어떠한 대외정책을 전개해 나갔는지를 일본 국내사정과 연관하여 살펴보고, 그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에야스는 정유재란이 끝난 직후부터 세키가하라 전투가 발발하기 전까지 대외적으로 일본군의 철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최대과제였지만, 조선과의 강...
-
이수경2016충무공 이순신과 한국 해양
-
金康植2008퇴계학과 유교문화일반적으로 임진왜란으로 불리고 있는 임진왜란은 크게 세 시기로 구분된다 그것은 임진왜란 개전기, 강화회담 시기, 정유재란 시기로 나눌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시기 구분에 따라서 임진왜란 시기에 경상우도의 전략적 요충이었던 고령 지역에서 의병운동을 통해...
-
金康植2008퇴계학과 유교문화일반적으로 임진왜란으로 불리고 있는 임진왜란은 크게 세 시기로 구분된다 그것은 임진왜란 개전기, 강화회담 시기, 정유재란 시기로 나눌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시기 구분에 따라서 임진왜란 시기에 경상우도의 전략적 요충이었던 고령 지역에서 의병운동을 통해서 전란을 극복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첫째, 임진왜란 시기에 고령 지역은 일본군의 침입 중로에 위치하여 초기부터 침입을 당한 지역이었다. 이...
-
박재광2008한일관계사연구2008년에 사용될 일본 고등학교 역사교과서 6종에서 기술된 임진왜란에 대한 내용을 분석했다.교과서에 기술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침략전쟁의 배경으로 표현상에는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궁극적으로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을 위한 명나라 정복 야망을 대표적인 이유로 들고 있다.부분적으로 무역 부활,내부적 모순의 대외적 표출 등을 언급한 교과서도 있기는 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