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첩과 호패가 있는 중은 일체 역사를 면해주라고 정원에 이르다.
상이 경기 청계사(淸溪寺)의 종 귀석(貴石) 등의 상언을 정원에 내리면서 이르기를,
“경기의 중들은 축성하는 데에 역사시키고 예목군(曳木軍)과 조지서군(造紙署軍)으로는 역사시키지 말아서 민폐가 없게 하라는 내용으로 비변사와 해조에 이르라. 예부터 중...
-
어사에게 적발된 경상좌 ․ 우도의 병사와 수사의 처벌을 논하다.
정원에 전교하기를,
“경상좌도와 우도의 병사·수사 4원【좌병사 윤선지(尹先智)와 수사 이귀침(李龜琛)은 전임 가덕첨사(加德僉使) 때이고, 우병사 김순(金洵)은 전임 부산첨사(釜山僉使) 때이고, 수사 박해(朴海)는 전임 동래부사(...
-
주사대장 남치근이 각관과 각포의 전선의 병폐에 대해 아뢰다.
주사대장(舟師大將) 남치근(南致勤)【성품이 음험하고 잔혹하였다. 을묘왜변(乙卯倭變)에 전라방어사가 되어 군민을 많이 죽였다.】이 아뢰기를,
“각관과 각 포의 전선을 보유하고 있는 곳이 모두 유명무실하여 다만 형체만 갖추고 있습니다. 평상시에 수리와 ...
-
영경연사 상진이 왜적과 사로잡힌 중국인들의 해송에 관해 아뢰다.
상이 조강에 나아갔다. 영경연사 상진(尙震)이 아뢰기를,
“…… 그리고 왜변으로 을묘년에 성이 함락당한 뒤로부터는 사람들이 통분한 마음을 지니고 있으니, 마땅히 왜적을 보는 대로 사로잡아 살해하여 과거의 수치를 씻어야 합니다. 그러나 그 당시 조정...
-
헌부에서 양남의 감사가 군관을 대동하지 못하도록 청하다.
헌부가 아뢰기를,
“양남의 감사가 군관을 대동하는 것은, 사변이 있은 이후【을묘왜변 이후 비로소 군관을 설치했다.】임시로 설치하여 예를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1~2명의 무사는 군무에 별로 조치하는 이익도 없는데, 열읍에 폐를 끼...
-
사간원이 부호군 남치근의 파직을 청하다.
간원이 아뢰기를,
“국가가 을묘왜변을 겪은 후로는 전하의 염려하시는 바가 항상 호남 한 도에 있어 특별히 명장을 뽑아 장수의 직임을 제수하였으니, 이 직임을 받은 자는 마땅히 조정의 뜻을 우러러 충정의 절의를 마쳐 나라를 위해 ...
-
사헌부가 조묘군은 해당 관내의 수군을 제급할 것을 아뢰다.
헌부가 아뢰기를,
“예장(禮葬) 때 동원되는 조묘군(造墓軍)은 으레 당령수군(當領水軍)을 횡간의 수에 의하여 지급하는데, 그 경우는 본역에 준하여 사역시키므로 처음에는 농민에게 폐단이 가는 일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을묘왜변이 있...
-
기대승이 을묘왜변 이후로 교화를 소홀히 했다고 아뢰다.
상이 문정전에서 소대하고 ≪논어≫ 양화편(陽貨篇)의 ‘공자가 무성(武城)에 가서’ 에서부터 집주(集註)에 나오는 ‘그가 반드시 개과할 수 없으리라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라는 대목까지 강하였다. 기대승이 임문(臨文)하여 아뢰기를,
“예와 악을 잠...
-
전라감사가 영암 ․ 강진 ․ 해남의 공부를 덜어 줄 것을 청하다.
전라감사가 치계 하였다.
“영암(靈巖) · 강진(康津) · 해남(海南) 세 고을은 양영 사이에 끼여 있는데다가 제주가 곧장 갈 수 있는 길목의 요충지여서 공부가 다른 고을보다 갑절이나 많습니다. 특히 을묘왜변을 겪은 뒤로는 방비...
-
유희춘이 주강에서 전라도 수군들의 조운폐단을 아뢰다.
진시 초각에 상이 사정당에 전좌하였다. …… 유희춘(柳希春)이 주강의 특진관으로서 아뢰기를,
“신이 전라도관찰사로 있을 때 보니 조정이 청명하였기 때문에 수령으로서 멋대로 탐학 하는 자가 있다는 것을 거의 듣지 못하였습니다. 공사에 능하지 못하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