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수덕2020In 1994 and 2014, the Donghak Peasant War had been actively studied in commemoration of the 100th and the 120th anniversary of the war. As a resu…
-
서수빈2020문학은 곧 유토피아다. 작가는 시대 배경 속에서 일종의 결핍을 인지하고, 원하는 형태와 방식에 따라 유토피아적 목적을 달성한다. 한국 고전 속에 유토피아는 ‘신시’와 ‘홍익인간’ 등의 설화에서부터 전설, 민담, 시조, 가사, 소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며, 그 양상은 변모한다. 고전을 통한 유토피아의 비교 고찰은 현실 통찰 능력과 상상력의 확장, 현실과 이상 사이의 적당한 거리감 형성, 선인들…
-
신수연2020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the meaning,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Koreanization" -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
-
양승목2020본 연구는 한국 한문학의 장에서 오랫동안 창작되고 향유되어 왔던 체험적 꿈을 기록한 산문 즉 夢記에 대한 총론적 고찰이다. 그동안 고전문학에서 꿈이라는 주제에 대한 학적 관심이 적지 않았지만 대개 꿈을 허구적 장치로 활용한 문학양식에 치중되어 있었다. 몽기에 대해서는 신변잡기의 하나 또는 몽유록의 미완태 정도로 취급한 탓에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이다. 그러나 몽기는 이규보가 첫 작품을 …
-
김예진2020본 연구는 한국문학 『금오신화』의 〈이생규장전〉과 중국문학 『전등신화』의 〈취취전〉을 비교 분석해 한국 고전소설〈이생규장전〉을 교육할 때 상호텍스트를 활용한 교육이 의미가 있음을 밝히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이생규장전〉을 어떻게 교육하고 있는지 검토하여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상호텍스트를 바탕으로 한 〈이생규장전〉의 교육 활용방안을 제시해 고전소설을 학습자들이 삶의 유용한 길잡이로서 수용할 수 …
-
채규식2020본 연구의 목적은 고전수사학을 바탕으로 바울의 수사학을 탐구하는 데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고는 아리스토텔레스에게 토대를 두고 있고 그리스-로마 수사가들이 따르고 있는 수사학의 세 가지 종류 중 하나를 바탕으로 바울 서신, 특별히 고린도전서를 탐구…
-
이아름2020이 연구는 장-뤽 낭시(Nancy, Jean-Luc)의 공동체 이론을 활용하여 <흥부전>과 <심청전>의 공동체 교육요소를 탐구하고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교육방안의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공동체 역량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
-
박주영2020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aspects of korean classical poetry through rewriting and present specific teaching strategy for the first-year learner in middle school.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
-
황예인2020본 논문은 현대 공동체의 모습이 반영된 공동체 역량의 의미와 요소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공동체 역량의 교육내용을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나아가 공동체 역량 신장을 위한 고전문학 교육의 실제를 제시함으로써 공동체 역량의 교육적 실현을 도모하였다. 먼…
-
이주선2020효(孝), 제(悌), 충(忠), 신(信), 예(禮), 의(義), 염(廉), 치(恥) 여덟 자의 유교문자도 중 “충(忠)” 의 양상에 퇴계와 율 곡 사상이 미친 영향을 추정하고 밝히기 위해 역사와 자연환경을 정리하고 유교 문자도의 등장과 배경을 고찰하며, 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