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예림2020In modern society, cultural heritage represents cultural diversity of mankind as a core and attractive handout of tourism. The World Cultural Her…
-
백은영2020A Study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rchetype of Horses in Jeju and Measures to Develop Cultural Content Various horse-related cultures…
-
김세정2020본 연구는 마당극을 활용한 역사체험 중심 유아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유아교육현장 적용 타당성 및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마…
-
장영호2020This study examined and reinterpreted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result of South Korea in historical and cultural …
-
김연주2020By referencing <Mukjaeilgi> and <Swaemirok>, this study investigated how often Lee, Moon-gun and Oh, Hee-moon who are the authors of …
-
하동환2020Trong dị bản của Truyện Xuân Hương như: Liệt nữ Xuân Hương thủ tiết ca (烈女春香守節歌) có bao gồm nội dung chung của cốt truyện Xuân Hương phổ biến tro…
-
감병곤2020본 논문은 경남지역의 탈놀음 중에서 남해안 지역에서 연희 되고 있는 탈놀음이 어떻게 연희 되고 그 지역의 문화적인 요인과 지역 요인이 탈놀음이 어떻게 분화되고 변화되어 가는 상호 유기적 교섭 과정에서 공통점, 차이점, 변화 및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
-
박찬희2020조선시대 양반 남성은 公人으로서 성리학적 가치에 따라 조선의 사회질서와 사회구성원의 삶을 바꾸고, 私人으로서는 새로운 행동양식을 충실히 따라야 했다. 그렇다면 양반 남성은 자신이 관료로서 주장한 바와 같이 일상에서 유교적 예법을 따르고 佛敎와 巫俗을 멀리했을까…
-
이숙희2020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eatures of tea culture of Chungin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ea poems in the anthology …
-
민윤숙2020설화는 오랜 세대를 거쳐 전승되는 이야기로서, 민중의 역사적 경험과 세계관이 응축되어 있다. 또한 설화는 민중이 전승해야 할 절실한 이유가 있는 것들이 이야기로 짜여져 전해지는 만큼 민의 공통된 문제의식과 닿아있기 마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는 원한이 쌓인 귀신이 공적 존재인 ‘원님’에게 나타나 해원을 요구하는 이야기들의 특징과 의미를 역사적 맥락 속에서 탐구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원귀설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