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바니2020This research is on composer Kim Dae-sung(김대성; 金大成 1967~)’s works for gayageum and his composing style for the instrument. An active composer o…
-
오택현2020고대 동아시아 각국은 모두 姓氏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각 국가마다 稱姓의 양상과 姓氏集團의 존재양태에 조금씩 차이가 있다. 이는 문화 유입과정에서 姓氏를 수용하는 국가의 상황에 맞춰 일정수준의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반도 고대사회의 姓氏를 이해…
-
박정원2020甘露圖는 화면의 중앙에 시식단이 놓여 있고 그 좌우에 의식을 행사는 승려, 화면 상부에는 강림하는 여래 불·보살이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감로도의 중요한 요소인 아귀는 시식단의 아래에 그려지며, 화면 하부에는 목을 매거나 물에 빠져 죽는 등 여러 가지 환난의 장면이 표현되어 있는 그림이다. 이러한 감로도는 수륙회 및 여러 천도의례를 위하여 제작되었다. 수륙회는 ‘물과 육지에서 헤매는 외로운 영…
-
석진영2020조선시대 궁궐에서는 국가의 존립과 왕실의 정통성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연향을 거행하였다. 왕실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연향은 표면적으로 국가의 안정과 백성과의 화합을 위한 것이었지만, 왕가의 위엄성을 공식화하기 위한 절차였다. 궁궐에서 거행된 宴享은 豊庭宴, 進宴, 進饌, 進爵 등이 있다. 궁궐에서 경축을 의미하는 잔치로는 주로 진연이 열렸으며 설날, 추석, 생일 등에 주로 열렸다. 잔치의 主賓이 왕…
-
최정임2020화포(花布)는 여러 가지 염색방법을 사용하여 직물에 다채로운 문양을 표현하는 문양염색 기법 및 그 결과물인 직물을 말한다. 현재 계승되고 있지 않는 문양염색인 화포는 한 가지 색으로 염색하는 침염(浸染)과 달리, 유물과 문헌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문양·색상·표…
-
강경윤2020A Cas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uban(Military Nobility) Families in Chungcheong-woodo(currently Chungcheong South Province) in the late J…
-
신광수(법타)2020In the Joseon Dynasty feudal system, the Reform Movement of the Gaewha Party, which promoted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modern state to …
-
이주영2020이 연구는 조선후기 필기․야담에 실린 귀신담의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이다. 귀신담의 유형을 분류하여 그 형식과 내용을 살피고, 특징적인 국면을 짚어내어 그 의미와 지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의의 전제로, 조선시대의 귀신 인식의 근거가 되는 주희…
-
박영한2020족보(族譜)는 한 집단의 혈통(血統)을 보여주는 데이터로, 조상(祖上) 이후 자손(子孫)들의 번영의 기록(記錄)이다. 족보에 대해서 논하기 전에, 이 논문은 먼저 족보의 근원이 되는 성씨(姓氏)의 시조(始祖)를 보여준다. 한국의 성씨는 중국문화(中國文化)의 유입과 함께 시작 하였다. 한국은 중국과 활발하게 교류를 하였던 삼국시대(三國時代)이후에 성씨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왕족(王族)과 귀…
-
이필문2020국문초록 육임학은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하고 상수체계 원리를 접목하여, 공간과 시간의 현상으로 인간의 吉‧凶‧禍‧福을 예측할 수 있는 占學으로 분류되며, 추상적 철학을 구체화함으로써 인류가 실생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술수학이다. 특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