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부찬2016동서철학연구茶山 丁若鏞은 조선 실학의 완성자로 알려져 있으며, 退溪 李滉과 栗谷 李珥 이후 조선 성리학의 새로운 개척한 인물이다. 그의 사상은 經學과 經世學의 두 분야로 대별되며, 경학은 朱子의 四書集註에 대한 비판과 원시유학에 대한 관심을 통하여 새로운 학설을 주장하였으며, 경세학은 민본주의의 입장에서 기술되어있다. 본고에서는 다산학의 여러 분야 중 체육철학적 관점에서 그의 신체관과 수양론을 살펴보고, 그 체…
-
김혁2015율곡학연구본 논문은 유학의 현대적 의미를 찾는 연구의 일환으로 율곡의 경세론의 경영학적 함의를 분석하고 논의하고 있다. 율곡은 조선조 임금 선조가 옛 성현과 같은 덕을 쌓는 수기(修己) 공부를 한 후 훌륭한 정치를 펼치기를 바라는 뜻에서 『성학집요(聲學輯要)』를 저술하였다. 본 논문은 『성학집요』의 「위정편」에 있는 왕도정치의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하고 있다. 「위정편」에서는 임금이 정치하는 자세와 능력있고 어…
-
이조원2008한국선학퇴계 이황(1501~1570)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성리학자 중의 한 사람으로 주자학에 입각하여 독자적인 학설을 수립하고 16세기 이후 한국철학사에 뚜렷한 학맥을 형성한 분이다. 퇴계사상의 핵심은 敬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敬사상은 儒學의 理想인 성인 혹은 군자…
-
鄭羽洛2007남명학연구본고는 소눌 노상직의 학문이 영남유학의 전통 속에서 어떠한 측면을 계승하 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노상직은 이황과 조식을 함께 높이면서도, 정구의 실용주의적 노선을 더욱 중시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주 자 正脈이 이황에게 이어진다고 하면서, 정구와 허목 등을 통해 허전에게까지 그 맥이 전해진다고 보았다. 이는 근기 남인의 학문을 계승한 것이지만, 그 스 스로가 허전의 제자이기…
-
鄭景柱2003남명학연구이 논문은 조선후기 숙종의 강우지방에서 강학활동을 하였던 西溪 朴泰茂(1677-1756)의 수양론을 중심으로 그의 학문 사상 속에 남명학의 요소가 계승되고 있음을 논증한 글이다. 서계 박태무는 조선후기 당쟁이 극렬하였던 시기를 살았던 강우 학자의 한 사람이다. 숙종조의 혹독한 당쟁에다 그 여파로 일어난 무신난을 겪으면서 위축된 경상우도 사림의 한 사람으로 서계는 타협을 거부하고 재야에서 학문을 강론…
-
장숙필2002民族文化硏究이 연구는 유교, 특히 조선 성리학의 도덕교육에 의한 인격변화의 과정과 그 결과를 컴퓨터로 모의 실험하기 위하여, 조선 성리학자들이 이해했던 心의 구조와 그 작동의 모형을 작성해보고자 하는 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아울러 그것을 통해서 조선 성리학의 큰 줄기를 형성한 퇴계의 심학과 율곡의 심학을 연구대상으로 포용하고, 그 둘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피고, 그 결과를 근거로 일종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