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상필2022古典文學硏究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epic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riod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history…
-
김준형2022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The attachment between mother and child is stronger than any other relationship. The phenomenon of accepting self-sacrificing motherhood as if it…
-
김준형2022古典文學硏究All stories originate from real events. In addition, the story mutates as the socio-cultural expectation(Erwartungshorizont) and the writer's des…
-
이주영2020이 연구는 조선후기 필기․야담에 실린 귀신담의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이다. 귀신담의 유형을 분류하여 그 형식과 내용을 살피고, 특징적인 국면을 짚어내어 그 의미와 지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의의 전제로, 조선시대의 귀신 인식의 근거가 되는 주희…
-
박병주2020고전문학과 교육This paper discusses teaching Korean premodern literature in the Arabic Language. Arabic culture and religion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Confu…
-
하은하2020고전문학과 교육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Dongyawijip』 and Folktales. The existing assessment of 『Dongyawijip』 was checked through this …
-
김자혜2015이 논문은 기존 한국문화 교육내용이 실체적인 문화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좀 더 다양하고 실질적인 문화를 한국문화 교육내용으로 선정하고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사고문화의 내용 중 하나로 야담 속에 담긴 돈에 대한 가치관을 통해 …
-
이채경2014野談은 조선 후기 대표적 서사 장르로, 민간에서 창작 구연되던 서사 형태가 식자층에 의해 기록 정착되었으며, 다채로운 이야기는 時空을 초월하여 유행되었다. 본고에서는 18세기 야담집 중 任邁의『雜記古談』, 盧命欽의『東稗洛誦』, 安錫儆의『霅橋漫錄』, 辛敦復의『鶴山閑言』 4종을 중심으로 야담의 서사 방식과 주제 구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4종은 18세기 시대상과 사회상을 반영하는 自著 형태…
-
강예림2013본고에서 연구의 주요 대상이 되는 것은 〈다모전(茶母傳)〉이라는 야담이다. ‘야담’이라는 용어가 실제로 있었던 사실을 소재로 하는 이야기로서의 성격을 가진다는 점을 전제로 할 때, 〈다모전〉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외재적인 접근은 필수불가결한 과정이다. 따라서 야담 〈다모전〉의 구체적인 작품 소개와 분석에 앞서 Ⅱ장에서는 작품의 주체이자 주인공인 ‘다모’가 어떤 존재인지 검토하였다. 다양한 역사…
-
김진희2011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이 글에서는 조선조에 패설·야담·소설 등의 서사장르를 통해 담론화된 기생의 섹슈얼리티를 ``나쁜 기생``의 경우와 ``열녀 기생``의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두 유형은 기생의 신분적 한계를 탈피하여 민중의 저항 정신과 풍자 정신을 구현한 형상으로 일찍부터 주목받아 왔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그 의미가 섹슈얼리티의 관점에서 의문시되고 있다. ``나쁜 기생``과 ``열녀 기생``은 도구적으로 규정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