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정은2022泰東古典硏究The “Yueji” chapter of the Liji is one of the reading materials adopted in the Royal Lectures during the Joseon dynasty. However, a sufficient am…
-
박지영2022美術史學硏究왕자의 초상화인 예진은 숙종대에 이르러 공식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첫 수혜를 입은 왕 자는 연잉군, 즉 영조였다. 영조는 이때의 예진을 때에 따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예진이 점차 정치적으로 특 별한의미와지위를갖출수있도록하였다.본논문에서는숙종대이후영조에의해정치적시각물로활용되 며 점차 격상된 지위를 수립하는 예진의 발전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영조는 1714년 〈연잉군 예진〉을 하사받았으며…
-
구혜인2022서울과 역사
-
다사카 마사노리2020한일관계사연구
-
이성원2020호남학‘절의(節義)’는 “신념을 굽히지 않는 꿋꿋한 태도와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뜻한다. 고려말 조선초 절의의 상징적 인물은 이색, 길재, 정몽주 등이며, 이들을 ‘절의지사(節義之士)’라고 부른다. 그런데 고려시대 ‘절의’의 용례를 살펴보면, 이런 뜻으로 사용된 경우를 찾을 수 없다. 고려시대 ‘절의자’는 ‘절부(節婦)’와 ‘의부(義夫)’의 합성어로서, 국왕의 진휼 대상이었다. ‘절의지사’…
-
김인호2020장서각17~18세기 조선에서는 우역이 많이 발생하였다. 특히 인조, 현종, 숙종, 영조 대에 우역이 많이 발생하였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 소의 개체 수 보호에 주력했으며, 영조는 우역제사를 지냈다. 영조의 우역제사는 당시 시대적·정치적 상황이 반영된 결과이다. 1749년은 장헌세자가 대리청정을 한 시기로 탕평책에 의해 정국이 안정적으로 운영되었다. 이때 우역이 발생하면 정권의 안정이 위협 받을 수 있었다…
-
황정연2017미술자료이 논문은 조선후기 書畫收藏이 활발하게 전개된 배경과 주체를 다각도로 규명하고자 궁중과 私家의 중간자적 위치에 있던 宮家의 역할을 조명한 것이다. 궁가의 소장품은 오늘날까지 일부 자료가 전해지는 사례도 있지만, 세대가 거듭될수록 양반가 자료 속에서 궁가의 성격이 희석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英祖의 잠저 彰義宮은 궁가 본연의 성격을 알려주는 소장목록이 남아 있고 서화컬렉션의 재구성이 가…
-
남미혜2009한국문화연구조선시대 양잠업은 농업과 함께 중요한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조선전기에는 잠실의 운영과 국가의 적극적인 권잠정책으로 인해 주요 부업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조선후기 양잠정책에 가장 적극적인 관심을 보인 국왕은 영조였다. 영조는 친잠례를 거행하고, 각 도 수령들을 통하여 상목재식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영조대 상목재식 정책은 당시 ‘상정(桑政)’이란 용어로 표현되고 있었는데, 이는 영조대 정…
-
황정연2009문화재본 논문은 조선 초·중기, 조선후기, 대한제국기 세 시기로 나누어 조선왕릉에 건립된 신도비와 표석의 시기별 건립추 이와 양식적 특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왕실 능비(신도비와 표석)는 일반 사대부가와 달리 건립한 시기와 주체, 후계왕의 의도에 따라 시기별 차이를 보이며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15~17세기는 왕릉 신도비의 건립과 재건이 이루어진 시기, 18세기는 신도비가 표석…
-
조융희2008장서각이 논문에서는 조선후기에 '풍천(風泉)'이 조선 고유의 문학적 술어로 관습화되는 과정을 구명하였다. 『시경(詩經)』의 「비풍(匪風)」과 「하천(下泉)」을 축약하여 만들어진 '풍천'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조선이 명을 높이고 청을 배척하고자 하는 정치적 논리를 마련하는 가운데 탄생된 신조어였다. 이 술어에 대한 검토는 조선 특유의 역사적 국면이 문학적 전개 양상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데 중요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