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정은2022泰東古典硏究The “Yueji” chapter of the Liji is one of the reading materials adopted in the Royal Lectures during the Joseon dynasty. However, a sufficient am…
-
박지영2022美術史學硏究왕자의 초상화인 예진은 숙종대에 이르러 공식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첫 수혜를 입은 왕 자는 연잉군, 즉 영조였다. 영조는 이때의 예진을 때에 따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예진이 점차 정치적으로 특 별한의미와지위를갖출수있도록하였다.본논문에서는숙종대이후영조에의해정치적시각물로활용되 며 점차 격상된 지위를 수립하는 예진의 발전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영조는 1714년 〈연잉군 예진〉을 하사받았으며…
-
이성원2020호남학‘절의(節義)’는 “신념을 굽히지 않는 꿋꿋한 태도와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뜻한다. 고려말 조선초 절의의 상징적 인물은 이색, 길재, 정몽주 등이며, 이들을 ‘절의지사(節義之士)’라고 부른다. 그런데 고려시대 ‘절의’의 용례를 살펴보면, 이런 뜻으로 사용된 경우를 찾을 수 없다. 고려시대 ‘절의자’는 ‘절부(節婦)’와 ‘의부(義夫)’의 합성어로서, 국왕의 진휼 대상이었다. ‘절의지사’…
-
김인호2020장서각17~18세기 조선에서는 우역이 많이 발생하였다. 특히 인조, 현종, 숙종, 영조 대에 우역이 많이 발생하였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 소의 개체 수 보호에 주력했으며, 영조는 우역제사를 지냈다. 영조의 우역제사는 당시 시대적·정치적 상황이 반영된 결과이다. 1749년은 장헌세자가 대리청정을 한 시기로 탕평책에 의해 정국이 안정적으로 운영되었다. 이때 우역이 발생하면 정권의 안정이 위협 받을 수 있었다…
-
황정연2009문화재본 논문은 조선 초·중기, 조선후기, 대한제국기 세 시기로 나누어 조선왕릉에 건립된 신도비와 표석의 시기별 건립추 이와 양식적 특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왕실 능비(신도비와 표석)는 일반 사대부가와 달리 건립한 시기와 주체, 후계왕의 의도에 따라 시기별 차이를 보이며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15~17세기는 왕릉 신도비의 건립과 재건이 이루어진 시기, 18세기는 신도비가 표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