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영진2017東洋學Comparative studies of Korea and Japan about symbolism of the animals of the twelve horary signs have already been done but those classified by O…
-
구동회2015한국지역지리학회지이 논문에서는 마천루의 개념과 역사를 살펴보고, 우리 시대의 마천루가 가지는 상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마천루의 개념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달라지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목적에 따라 마천루의 기준을 조작적으로 정 의할 수는 있겠으나, 마천루를 지칭하는…
-
김진희2011批評文學1920년대에는 김억의 번역시를 중심으로 다양하고 많은 외국시들이 당대 문단에 번역·소개되었다. 특히 시의 번역은 1910년대 이후 서정시의 내포와 외연을 만들고자 했던 시문단에 서정시의 한 모델을 제시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본고는 번역이 갖는 역동적인 특성을 중심으로 김억의 번역시와 한용운과 김소월의 창작과 관련되는 지점을 '님'의 시학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다. 김억이 번역한 서구의 상징주…
-
길금선2011한국의 생활문화 속에 문화적 정체성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속화(俗畵)또는 민화(民畵)의 표현요소를 대상으로 동․식물(動․植物)의 상징성(象徵性)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화(민중의 그림)’라는 용어는 1929년 일본인 야나기 무네요시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되어 오늘날까지 특별한 반론 없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민족의 토속성 짙은 그림이자 상징적 의미를 담고…
-
김춘식2005한국문학연구1920년『개벽』에 황석우가 월평을 쓰면서 시작된 황석우ㆍ현철 사이의 논쟁은, 현진건의「희생화」에 대한 황석우의 혹평이 현철을 자극하여, 종국에는 논의의 초점이 두 사람 사이의 감정싸움으로 심하게 변질된 것으로 당시 문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이야기되었다. 그러나 현철과 친척 관계에 있는 현진건에 대한 황석우의 비판은 실제로 이 논쟁의 과정 중에서 전혀 중요한 논점으로 다루어진 적이 없다는 점에서 항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