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金昌緝, 1726, 圃陰集
    한국문집총간 제176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형 김창흡(金昌翕)이 수집, 편차한 것을 문인 유척기(兪拓基)가 종자(從子) 김신겸(金信謙) 등의 산정을 받아 1726년에 인행한 초간본으로, 원집 6권 부록 합 3책(257판)의 활자본이다. 원집은, 권1은 시, 권2~6은 문이고, 부록에는 연보와 제문이 실려 있다.

  • 金昌集, 1758, 夢窩集
    한국문집총간 제158집 본 문집은 저자의 종손(從孫) 원행(元行)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 편차하고 홍봉한(洪鳳漢)이 1758년에 활자로 인행한 초간본을 1859년 대구순영(大邱巡營)에서 복각(覆刻)한 것이다. 10권 5책(383판)의 목판본이다. 부집된 저자의 아들 제겸(濟謙)의 문집인 죽취고(竹醉藁)는 제외하였다.

  • 金昌協, 1928, 農巖集
    한국문집총간 제161~162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문인 김시좌(金時佐) 등이 수집, 편차하여 1709년에 초간한 원집에, 1710년에 약간의 문(文)을 증산(增刪), 재편(再編)하여 중간한 후 1754년에 조돈(趙暾)이 연보 등을 추각하고 완결(刓缺)된 부분을 보각한 후쇄본(後刷本)의 부록(권35~36)과 5대손 …

  • 金昌翕, 1732, 三淵集
    한국문집총간 제476~478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문인 유척기(兪拓基) 등이 산정, 편차하여 1732년에 초간한 원집에, 편집경위가 불분명한 습유를 합부한 것이다. 원집 36권, 습유 32권 합 34책(2,727판)으로 원집은 활자본이고 습유는 사본이다. 원집은 권1~16은 시, 권17~36은 문(文)이고, 습유 …

  • 金昌熙, 1898, 石菱集
    조선 시대 석릉(石菱) 김창희(金昌煕, 1844~1890)의 문집이다. 아들 교헌(敎獻)이 저자가 생전에 정리한 고본(稿本)과 별저(別著)들을 바탕으로 1898년 활자로 인행한 것이다. 본서는 12권 3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 총목이 있으며 권별로 목록이 있다. 권3은 제발(題跋)이다. 〈서노소문장익주화상기후(書老蘇文…

  • 金千鎰, 1893, 健齋集
    한국문집총간 제47집 본 문집의 저본은 후손 민상(玟相)이 1893년 초간한 후, 후손 매수(邁洙)가 동년에 기우만(奇宇萬)의 재편(再編)을 거쳐 인행한 중간본으로, 원집 4권, 부록 7권 합 2책(159판)의 활자본이다.

  • 金春澤, 1760, 北軒集
    한국문집총간 제185집 본 문집의 저본은 저자의 손자 김두추(金斗秋)가 저자의 자편고(自編稿)와 자편이후의 저작인 노산록(蘆山錄)의 일부를 산절하여 1760년에 인행한 초간본으로, 20권 7책(576판)의 활자본이다. 권1~6은 시, 권7~20은 문이다.

  • 金忠善, 1798, 慕夏堂集
    조선 시대 모하당(慕夏堂) 김충선(金忠善, 1571~1642)의 문집이다. 저자는 임진왜란 때에 명분 없는 침략전쟁을 거부하여 귀화한 일본인으로 화포(火砲)와 조총(鳥銃)의 제조 기술을 전수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본집은 6대손 김한조(金漢祚)가 가장초고(家藏草稿)와 김사눌가(金思訥家)에서 구한 유록을 바탕으로 수집ㆍ편…

  • 金就文, 1791, 久庵集
    조선 시대 구암(久庵) 김취문(金就文, 1509~1570)의 문집이다. 본집은 7대손 김몽의(金夢儀)가 유문을 수집 편차하였으나 간행하지 못하고 죽자, 아우 김몽화(金夢華)가 형의 뜻을 이어 문집을 간행하려고 1789년에 정범조(丁範祖)에게 서문을 받았다. 이어 7대손 김태화(金太和)가 저자의 문집에 형 김취성(金就成)…

  • 金致垕, 1765, 沙村集
    조선 시대 사촌(沙村) 김치후(金致垕, 1691~1742)의 문집이다. 본집은 아들 종정(鍾正)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1765년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4권 2책이다. 총목은 별도로 없으며 권별로 권목이 있다. 권1은 시(詩)이다. 1718년부터 1742년 사이에 지은 작품들로서, 저자가 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