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申最, 1682, 春沼子集
    조선 시대 춘소(春沼) 신최(申最, 1619~1658)의 문집이다. 본집은 아들 의화(儀華)가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고 표질 김석주(金錫胄)가 1682년 한구자(韓構字)로 인행한 초간본으로서, 의화의 《사아자유고(四雅子遺稿)》와 묘지명이 부집되어 있다. 본집은 원집 8권, 부록 합 4책으로 되어 있다. 권1은 …

  • 金八元, 1826, 芝山集
    조선 시대 지산(芝山) 김팔원(金八元, 1524~1569)의 문집이다. 본집은 후손이 수집ㆍ편차한 가장초고(家藏草稿)를 일실한 후, 종한(宗漢)ㆍ종우(宗愚)가 다시 유문을 수집ㆍ편차하여 김시찬(金是瓚)의 정정을 거쳐 1826년 활자(活字)로 인행(印行)하였다. 본집은 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수에 1826년 김시…

  • 沈攸, 1708, 梧灘集
    조선 시대 오탄(梧灘) 심유(沈攸, 1620~1688)의 문집이다. 본집은 윤자 한주(漢柱)가 수집ㆍ편차하여 의성에서 1708년 목판으로 간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14권 7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 권상하(權尙夏)와 김진규(金鎭圭)가 1708년에 지은 서(序)가 있고, 목록이 실려 있다. 권1~12는 시로, 시체별 분…

  • 李弘有, 1890, 遯軒集
    조선 시대 둔헌(遯軒) 이홍유(李弘有, 1588~1671)의 문집이다. 본집은 8대손 이광영(李匡榮)이 가장초고(家藏草稿)을 바탕으로 수집(蒐集)ㆍ편차(編次)하여 1890년 자양재(紫陽齋)에서 활자(活字)로 인행(印行)한 초간본(初刊本)이다. 본집은 4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수(卷首)에 김낙현(金洛鉉)이 1890…

  • 李晩用, 1909, 東樊集
    한국문집총간 제303집

  • 鄭瀁, 1914, 抱翁集
    한국문집총간 제101집 본 문집은 저자의 9대손 일원(一源)이 준덕사(竣德祠) 등에서 수집한 것을 바탕으로 일원의 아들 운호(雲灝)가 증보하고 연보, 세계, 부록 등을 편차ㆍ합부하여 1914년 제천(堤川) 월림(月林) 계산(桂山)에서 활자로 인행한 초간본이다. 8권 2책(157판)이다.

  • 朴文五, 1904, 誠菴集
    조선 시대 성암(誠菴) 박문오(朴文五, 1835~1899)의 문집이다. 원집은 장남 동흠(東欽)이 수습하고 문인 이윤실(李允實)이 교정을 담당하여 김학진(金鶴鎭)의 서문과 박은식(朴殷植), 전병훈(全秉薰)의 발문을 덧붙여 오도빈(吳道斌)과 함께 서울에서 전사자(全史字)로 문집을 인행하였다. 별집은 초간본에 누락된 시문과…

  • 吳以翼, 1874, 石門集
    조선 시대 석문(石門) 오이익(吳以翼, 1618~1666)의 문집이다. 본집은 7대손 항규(恒圭)ㆍ원규(元圭) 등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1874년 나주 도림강당에서 활자로 인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5권 2책으로 되어 있다. 권수에 이경재(李景在)가 지은 서(序)와 목록이 있다. 권1~3의 앞부분은 시로,…

  • 韓夢麟, 1807, 鳳巖集
    조선 시대 봉암(鳳巖) 한몽린(韓夢麟, 1684~1762)의 문집이다. 본집은 문인 남명학(南溟學)의 윤자 남양용(南陽龍) 등이 1807년 활자로 인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5권 2책으로 되어 있다. 권두에 남공철(南公轍)이 1807년에 지은 서(序)와 목록이 있다. 권1은 시(詩), 명(銘), 축(祝)이다. 시는 학문…

  • 宋柟壽, 1686, 松潭集
    조선 시대 송담(松潭) 송남수(宋柟壽, 1537~1626)의 문집이다. 본집(本集)은 손자 송국사(宋國士)와 증손 송규렴(宋奎濂) 등이 수집(蒐集)ㆍ편차(編次)하여 1686년 목판(木板)으로 간행(刊行)한 원집(原集)에, 증손 규렴(奎濂)이 1687년 목판(木板)으로 간행(刊行)한 〈검신요결(檢身要訣)〉과 1696년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