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의정 정분이 삼도 연변의 여러 읍성 및 군용 등을 순찰하러 가기를 청하다.
    우의정 정분(鄭苯)이 아뢰기를, “의정부지인(議政府知印) 등이 하삼도(下三道)에 가서 살펴보았는데, 볏곡이 웬만큼 되어 실농이 심하지는 않습니다. 옛날에 문종께서 신에게 하삼도 여러 고을의 축성·제언(堤堰)·군용(軍容)의 여러 일을 감장(監掌)할 것을 …
  • 이승윤이 정분이 축성하는 일로 하삼도에 가는 일을 정지하기를 청하다.
    우헌납(右獻納) 이승윤(李承胤)이 본원(本院)의 의논을 가지고 아뢰기를, “신 등이 듣건대, 우의정 정분(鄭苯)이 축성하는 일로 하삼도(下三道)로 간다 합니다. 올해 곡식이 조금 풍년이 들었다 하나, 혹은 부세 때문에, 혹은 부채 때문에 그것들을 변상하…
  • 하삼도의 축성하는 일에 관해 이예장 ․ 허후 등이 의논하다.
    사인(舍人) 이예장(李禮長)이 당상(堂上)의 의논을 가지고 이렇게 아뢰기를, “지금 하삼도의 밀·보리가 비록 풍년은 아니나, 실농에 이르지는 않습니다. 예로부터 이와 같은 큰일에 꼭 대신을 보내는 것은 재지와 덕망이 남보다 달라서가 아니고 다만 그 일을…
  • 정분이 황해도 평산부의 산성을 옛터로 돌아가 지키게 하기를 청하다.
    도체찰사 정분(鄭苯)이 아뢰기를, “신이 일찍이 황해도 여러 고을의 산성을 순심하였는데 평산부(平山府)의 산성이 가장 험고하고 요해한 곳이었습니다. 지금은 평산부를 산성에서 매우 멀리 떨어지게 옮겼으니, 청컨대 구기로 되돌아가 산성을 지키게 하소서.” …
  • 조극관이 경상도와 전라도에 정분을 보내어 사민하기를 청하다.
    병조판서 조극관(趙克寬)이 아뢰기를, “신은 일찍이 경상 · 평안 · 함길도관찰사를 지냈습니다. 평안도와 함길도는 오랑캐들이 자주 들어와서 도둑질하므로 무인을 골라서 수령으로 삼고 또 비어를 더욱 엄하게 하고 있으나, 경상도와 전라도는 승평한 날이 오래…
  • 전라 ․ 경상 ․ 충청도 도체찰사 정분이 사조하니 궁전과 마장을 하사하다.
    전라·경상·충청도 도체찰사 정분(鄭苯)이 사조(辭朝)하니, 궁전(弓箭)과 마장(馬粧)을 하사하였다.
  • 도승지 박중손에게 명하여 정분을 교외에서 전송하게 하다.
    도승지(道承旨) 박중손(朴仲孫)에게 명하여 정분(鄭苯)을 교외에서 전송하게 하였다. 이때 노산군(魯山君)이 어려서, 일의 대소가 없이 모두 의정부에 자문(咨問)하였는데, 정분이 멀리 나가기를 자청하니, 이때의 논의는 이를 비난하기도 하고, 혹은 그가 황보인(皇…
  • 정분에게 축성을 정지하고 백성을 괴롭게 하지 말 것을 명하다.
    도체찰사 정분(鄭苯)에게 유시하기를, “충청도관찰사가 아뢰기를, ‘금년에 여러 고을이 모두 실농하였습니다.’ 고 하였으니, 이 예로써 경상도와 전라도도 가히 알 만하다. 경은 삼도를 순찰하여 우선 축성을 정지하고 우리 백성을 괴롭게 하지 말 것이다.” …
  • 상호군 심귀령 등에게 해변 고을의 토지를 다시 측량하게 하다.
    유사(攸司)에 명하여 연해주군(沿海州郡)의 밭을 양전하게 하였다. 상호군(上護軍) 심귀령(沈龜齡)·여량감무(礪良監務) 정분(鄭芬) 등이 진언하기를, “연해주군(沿海州郡)이 경인년 이후부터 전지가 황폐하였었는데, 근년 이래로 왜구가 잠잠하고 인물이 모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