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세계(高麗世系)高麗世系고려의 선대는 역사기록이 없어 상세하지 않다.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조실록』 제2차 거란(契丹) 침입 후 수찬관(修撰官) 황주량(黃周亮)이 주저(周佇)․윤징고(尹徵古)․최충(崔冲) 등과 함께 현종의 명을 받들어 편찬한 『칠대실록(七代實錄)』 36권 가운데…#원덕대왕 #정화왕후 #의조 #원창왕후 #세조 #위숙왕후 #김관의 #편년통록 #호경 #성골장군 #백두산 #부소산 #평나산 #평나군 #구룡산 #강충 #서강 #영안촌 #구치의 #오관산 #마아갑 #감간 #팔원 #부소군 #송악군 #상사찬 #손호술 #보육 #지리산 #곡령 #이제건 #덕주 #진의 #숙종 #패강 #서포 #전포 #민지 #편년강목 #벽암록 #선종 #목종 #무종 #염관현 #안선사 #광왕 #양주 #항주 #당사 #안록산 #충선왕 #한림학사 #영무 #양자동 #편년강목』 #작제건 #국조원덕대왕 #김양정 #저민의 #백주 #정조 #유상희 #개주 #정주 #염주 #강화현 #교동현 #하음현 #영안성 #광명사 #장갑사 #의조경강대왕 #용건 #문명 #송악 #몽부인 #한씨 #연경궁 #도선 #일행 #왕건 #금성군 #이제현 #태조 #세조위무대왕 #왕대종족기 #성원록 #흔강대왕 #평주 #두은점 #각간 #궁예 #왕씨종족기 #아간 #대아간 #아찬 #알찬 #동지추밀원사 #병부상서 #김영부 #징사랑 #검교군기감 #종족기 #당서 #태조실록 #정당문학 #수국사 #황주량 #북사 #탁발씨 #헌원 #신원황제 #모용씨 #우문씨 #염제
-
태조태조 4년(921) 신사년태조 4년(921) 신사년4년 봄 2월 갑자일. 흑수(黑水)의 추장인 고자라(高子羅)가 1백 70명을 거느리고 투항해왔다. 임신일. 달고적(達姑狄)(靺鞨族의 일족) 달고적 『삼국사기』에서는 ‘말갈 별부(別部) 달고(達姑)’라 하였다. 『삼국사기』 권12, 신라본기, …
-
현종현종 12년(1011) 신유년현종 12년(1011) 신유년12년 봄 정월 경진일. 흰 기운이 해를 꿰뚫었다. 기축일. 거란의 동경사(東京使)인 좌상시(左常侍) 왕도충(王道冲)이 와서 거란 임금이 책봉의 예식을 받게 된다고 알렸다. 을사일. 자신전(紫宸殿)을 경덕전(景德殿) 경덕전 고려시대 …#흰 기운 #동경사 #좌상시 #왕도충 #자신전 #경덕전 #토양궁 #정양궁 #조천문 #조종문 #유원문 #숭복문 #아두 #타불 #검교사공 #어사대부 #요거신 #오관산 #회화장군 #마저개 #유방 #내사시랑평장사 #주덕명 #상서좌복야 #김현섭 #형부상서 #박눌암 #공부상서 #서눌 #국자좨주 #지이부사 #모일라 #나홀라 #철리국 #검교산기상시 #장징악 #현화사 #문공전 #문덕전 #구정 #인왕경 #기우제 #남성 #상서좌승 #이가도 #경주 #고선사 #창림사 #내전 #장영 #동 내사문하평장사 #주저 #한림학사승지 #한조 #송나라 #탐라 #거울마두개 #명경전 #선정전 #영은전 #연영전 #김인위 #상서우복야 #한림학사 #참지정사 #채충순 #연덕궁 #왕기 #왕흠 #호국공신 #최사위 #검교태사 #수문하시중 #최항 #검교태부 #수문하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검교태보 #윤징고 #검교태위 #관인전 #조패 #실빈 #아리고 #이공 #중추원사 #소물개 #고지문 #병부시랑 #유종 #거란 #이주헌 #아로대 #아개 #지중추원사 #병부상서 #강민첨 #우산기상시 #판상서이부사 #김맹 #이부시랑
-
현종현종 20년(1029) 기사년현종 20년(1029) 기사년20년 봄 정월 계사일. 천추태후(千秋太后) 황보씨(皇甫氏)가 숭덕궁(崇德宮)에서 죽었다. 2월 경진일. 궁인(宮人) 한씨(韓氏)의 부친인 한빈경(韓彬卿) 한빈경(?~?) 현종~덕종 때 시강학사(侍講學士)․태자빈객(太子賓客)․…#천추태후 #숭덕궁 #한빈경 #태자빈객 #동지중추사 #주국 #왕순 #침구 #선병도부서판관 #조윤정 #아홀 #사일 #나골개 #오관산 #명주 #병마판관 #김후 #왕형 #회경전 #장경도량 #구정 #대장군 #야율연영 #해북주자사 #장영의 #조올 #예부 #예기 #동산현 #고오노 #유격 장군 #광주 #용호군 #장교 #중광사 #야율관녕 #숭록소경 #이가봉 #탐라 #문희현 #정일 #나사부 #일식 #대상 #쾌발 #발해 #장문보 #평주 #백주 #개경 #나성 #동경장군 #대연림 #대부승 #고길덕 #흥요국 #천흥 #염주 #해주 #장리 #장호 #전중성 #상참 #박종검 #예빈경 #좌간의대부 #조성도감 #평장사 #서눌 #판서경유수사 #상서좌복야 #이단 #서경유수사 #황주량 #국자좨주 #한림학사 #최충 #우간의대부 #이작충 #급사중 #이가도 #검교태위 #행이부상서 #태자소사 #참지정사 #형부상서 #곽원 #구두 #벼락 #태사 #대연정 #거란 #서북면판병마사 #유소
-
고려세계(高麗世系)高麗世系高麗之先, 史闕未詳. 太祖實錄, “卽位二年, 追王三代祖考, 冊上始祖尊謚曰元德大王, 妣爲貞和王后, 懿祖爲景康大王, 妣爲元昌王后, 世祖爲威武大王, 妣爲威肅王后.” 金寬毅編年通錄云, “有名虎景者, 自號聖骨將軍. 自白…#원덕대왕 #정화왕후 #의조 #원창왕후 #세조 #위숙왕후 #김관의 #편년통록 #호경 #성골장군 #백두산 #부소산 #평나산 #평나군 #구룡산 #강충 #서강 #영안촌 #구치의 #오관산 #마아갑 #감간 #팔원 #부소군 #송악군 #상사찬 #손호술 #보육 #지리산 #곡령 #이제건 #덕주 #진의 #숙종 #패강 #서포 #전포 #민지 #편년강목 #벽암록 #선종 #목종 #무종 #염관현 #안선사 #광왕 #양주 #항주 #당사 #안록산 #충선왕 #한림학사 #영무 #양자동 #편년강목』 #작제건 #국조원덕대왕 #김양정 #저민의 #백주 #정조 #유상희 #개주 #정주 #염주 #강화현 #교동현 #하음현 #영안성 #광명사 #장갑사 #의조경강대왕 #용건 #문명 #송악 #몽부인 #한씨 #연경궁 #도선 #일행 #왕건 #금성군 #이제현 #태조 #세조위무대왕 #왕대종족기 #성원록 #흔강대왕 #평주 #두은점 #각간 #궁예 #왕씨종족기 #아간 #대아간 #아찬 #알찬 #동지추밀원사 #병부상서 #김영부 #징사랑 #검교군기감 #종족기 #당서 #태조실록 #정당문학 #수국사 #황주량 #북사 #탁발씨 #헌원 #신원황제 #모용씨 #우문씨 #염제
-
태조태조 4년(921) 신사년태조 4년(921) 신사년四年 春二月 甲子 黑水酋長高子羅, 率百七十人來投. 壬申 達姑狄 狄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은(犾)’자이나, 『고려사절요』 권1, 태조 4년 2월의 원문이 ‘적(狄)’자이며 뜻으로도 후자가 옳다. 百七十一人侵新羅, 道由登州, 將軍堅權邀擊大敗之, 匹馬無還…
-
현종현종 12년(1011) 신유년현종 12년(1011) 신유년十二年 春正月 庚辰 白氣貫日. 己丑 契丹東京使左常侍王道冲來, 告其主將受冊禮. 乙巳 改紫宸殿爲景德殿, 土 土 동아대본 원문이 ‘토(土)’자이며, 아세아문화사본 원문이 ‘상(上)’자이다. 한편 『고려고도징(高麗古都徵)』에는 ‘상양궁(上陽宮)’이라 하였다.陽宮爲正陽…#흰 기운 #동경사 #좌상시 #왕도충 #자신전 #경덕전 #토양궁 #정양궁 #조천문 #조종문 #유원문 #숭복문 #아두 #타불 #검교사공 #어사대부 #요거신 #오관산 #회화장군 #마저개 #유방 #내사시랑평장사 #주덕명 #상서좌복야 #김현섭 #형부상서 #박눌암 #공부상서 #서눌 #국자좨주 #지이부사 #모일라 #나홀라 #철리국 #검교산기상시 #장징악 #현화사 #문공전 #문덕전 #구정 #인왕경 #기우제 #남성 #상서좌승 #이가도 #경주 #고선사 #창림사 #내전 #장영 #동 내사문하평장사 #주저 #한림학사승지 #한조 #송나라 #탐라 #거울마두개 #명경전 #선정전 #영은전 #연영전 #김인위 #상서우복야 #한림학사 #참지정사 #채충순 #연덕궁 #왕기 #왕흠 #호국공신 #최사위 #검교태사 #수문하시중 #최항 #검교태부 #수문하시랑 동 내사문하평장사 #검교태보 #윤징고 #검교태위 #관인전 #조패 #실빈 #아리고 #이공 #중추원사 #소물개 #고지문 #병부시랑 #유종 #거란 #이주헌 #아로대 #아개 #지중추원사 #병부상서 #강민첨 #우산기상시 #판상서이부사 #김맹 #이부시랑
-
현종현종 20년(1029) 기사년현종 20년(1029) 기사년二十年 春正月 癸巳 千秋太后皇甫氏薨于崇德宮. 二月 庚辰 以宮人韓氏父彬卿, 兼太子賓客同知中樞使柱國. 丁亥 避王嫌名, 改人姓筍爲孫. 閏月 己亥 女眞賊船三十餘艘來寇東鄙, 船兵都部署判官趙閏貞, 擊走之. 是月, 東․西女眞阿忽․沙一․羅…#천추태후 #숭덕궁 #한빈경 #태자빈객 #동지중추사 #주국 #왕순 #침구 #선병도부서판관 #조윤정 #아홀 #사일 #나골개 #오관산 #명주 #병마판관 #김후 #왕형 #회경전 #장경도량 #구정 #대장군 #야율연영 #해북주자사 #장영의 #조올 #예부 #예기 #동산현 #고오노 #유격 장군 #광주 #용호군 #장교 #중광사 #야율관녕 #숭록소경 #이가봉 #탐라 #문희현 #정일 #나사부 #일식 #대상 #쾌발 #발해 #장문보 #평주 #백주 #개경 #나성 #동경장군 #대연림 #대부승 #고길덕 #흥요국 #천흥 #염주 #해주 #장리 #장호 #전중성 #상참 #박종검 #예빈경 #좌간의대부 #조성도감 #평장사 #서눌 #판서경유수사 #상서좌복야 #이단 #서경유수사 #황주량 #국자좨주 #한림학사 #최충 #우간의대부 #이작충 #급사중 #이가도 #검교태위 #행이부상서 #태자소사 #참지정사 #형부상서 #곽원 #구두 #벼락 #태사 #대연정 #거란 #서북면판병마사 #유소
-
효우(孝友)문충(文忠)문충文忠문충의 집안 내력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모친을 지극히 효성스럽게 모신 사람이다. 개경에서 30리 떨어진 오관산(五冠山) 영통사(靈通寺) 영통사 지금의 개성직할시 용흥동에 소재한 사찰이다. 현종 18년(1027)에 창건되었으며 대각국사 의천이 출가하고 입적…
-
효우(孝友)문충(文忠)문충文忠文忠, 未詳世系. 事母至孝, 居五冠山靈通寺之洞, 去京都三十里, 爲養祿仕. 朝出夕返, 告面定省, 不少衰. 嘆其母老, 作木鷄歌, 名曰五冠山曲, 傳于樂譜.
-
高麗世系고려의 선대는 역사기록이 없어 상세하지 않다. 『태조실록(太祖實錄)』 『태조실록』 제2차 거란(契丹) 침입 후 수찬관(修撰官) 황주량(黃周亮)이 주저(周佇)․윤징고(尹徵古)․최충(崔冲) 등과 함께 현종의 명을 받들어 편찬한 『칠대실록(七代實錄)』 36권 가운데…
-
태조 4년(921) 신사년4년 봄 2월 갑자일. 흑수(黑水)의 추장인 고자라(高子羅)가 1백 70명을 거느리고 투항해왔다. 임신일. 달고적(達姑狄)(靺鞨族의 일족) 달고적 『삼국사기』에서는 ‘말갈 별부(別部) 달고(達姑)’라 하였다. 『삼국사기』 권12, 신라본기, …
-
현종 12년(1011) 신유년12년 봄 정월 경진일. 흰 기운이 해를 꿰뚫었다. 기축일. 거란의 동경사(東京使)인 좌상시(左常侍) 왕도충(王道冲)이 와서 거란 임금이 책봉의 예식을 받게 된다고 알렸다. 을사일. 자신전(紫宸殿)을 경덕전(景德殿) 경덕전 고려시대 …
-
현종 20년(1029) 기사년20년 봄 정월 계사일. 천추태후(千秋太后) 황보씨(皇甫氏)가 숭덕궁(崇德宮)에서 죽었다. 2월 경진일. 궁인(宮人) 한씨(韓氏)의 부친인 한빈경(韓彬卿) 한빈경(?~?) 현종~덕종 때 시강학사(侍講學士)․태자빈객(太子賓客)․…
-
高麗世系高麗之先, 史闕未詳. 太祖實錄, “卽位二年, 追王三代祖考, 冊上始祖尊謚曰元德大王, 妣爲貞和王后, 懿祖爲景康大王, 妣爲元昌王后, 世祖爲威武大王, 妣爲威肅王后.” 金寬毅編年通錄云, “有名虎景者, 自號聖骨將軍. 自白…
-
태조 4년(921) 신사년四年 春二月 甲子 黑水酋長高子羅, 率百七十人來投. 壬申 達姑狄 狄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은(犾)’자이나, 『고려사절요』 권1, 태조 4년 2월의 원문이 ‘적(狄)’자이며 뜻으로도 후자가 옳다. 百七十一人侵新羅, 道由登州, 將軍堅權邀擊大敗之, 匹馬無還…
-
현종 12년(1011) 신유년十二年 春正月 庚辰 白氣貫日. 己丑 契丹東京使左常侍王道冲來, 告其主將受冊禮. 乙巳 改紫宸殿爲景德殿, 土 土 동아대본 원문이 ‘토(土)’자이며, 아세아문화사본 원문이 ‘상(上)’자이다. 한편 『고려고도징(高麗古都徵)』에는 ‘상양궁(上陽宮)’이라 하였다.陽宮爲正陽…
-
현종 20년(1029) 기사년二十年 春正月 癸巳 千秋太后皇甫氏薨于崇德宮. 二月 庚辰 以宮人韓氏父彬卿, 兼太子賓客同知中樞使柱國. 丁亥 避王嫌名, 改人姓筍爲孫. 閏月 己亥 女眞賊船三十餘艘來寇東鄙, 船兵都部署判官趙閏貞, 擊走之. 是月, 東․西女眞阿忽․沙一․羅…
-
문충文忠문충의 집안 내력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모친을 지극히 효성스럽게 모신 사람이다. 개경에서 30리 떨어진 오관산(五冠山) 영통사(靈通寺) 영통사 지금의 개성직할시 용흥동에 소재한 사찰이다. 현종 18년(1027)에 창건되었으며 대각국사 의천이 출가하고 입적…
-
문충文忠文忠, 未詳世系. 事母至孝, 居五冠山靈通寺之洞, 去京都三十里, 爲養祿仕. 朝出夕返, 告面定省, 不少衰. 嘆其母老, 作木鷄歌, 名曰五冠山曲, 傳于樂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