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 Here...

Media Korean Studies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
Search
Anthology & Resources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Anthologies DB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Historical Resources fo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DB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B
Geography History Content
The Collection of Korea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DB
The Series of Geography, History and Customs of Manchuria-Mongolia DB
Etc.
지명콘텐츠
The Korean Studies Content
Classical Translation Content
The Book of Classical Translation DB
LoginSign upSupport
Change Language
Search

Korean Translation of Koryŏsa DB
MKSDB / DB / 국역고려사DB

  • AtoZ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 All
  • System of Koryosa

Article 4,521 Korean Studies Content 391 View with Viewer
Sort
By date
  • 태조
    태조 4년(921) 신사년
    태조 4년(921) 신사년
    4년 봄 2월 갑자일. 흑수(黑水)의 추장인 고자라(高子羅)가 1백 70명을 거느리고 투항해왔다. 임신일. 달고적(達姑狄)(靺鞨族의 일족) 달고적 『삼국사기』에서는 ‘말갈 별부(別部) 달고(達姑)’라 하였다. 『삼국사기』 권12, 신라본기, …
    #흑수 #고자라 #달고적 #등주 #견권 #아어간 #낭중 #찬행 #오관산 #대흥사 #이언 #서경 #왕무 #정윤 #후백제 #궁창 #명권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태조
    태조 15년(932) 임진년
    태조 15년(932) 임진년
    15년 여름 5월 갑신일. 신하들에게 다음과 같은 유지(諭旨)를 내렸다. “근래에 서경의 보수를 끝내고 백성을 이주 이주 태조 원년(918) 9월과 그 이후 왕건이 국방상문제 및 왕권안정의 도모와 함께 후백제와의 쟁패과정에서 개경(開京…
    #서경 #이주 #진 #유비 #상서지 #후백제 #공직 #투항 #일모산성 #정윤 #왕무 #견훤 #일길찬 #상귀 #예성강 #염주 #백주 #정주 #저산도 #해군장군 #상애 #대우도 #대광 #만세 #내봉경 #최응 #대상 #왕중유 #후당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태조
    태조 19년(936) 병신년
    태조 19년(936) 병신년
    19년 봄 2월 ○ 견훤의 사위인 장군 박영규(朴英規)가 귀부를 요청해 왔다. 여름 6월 ○ 견훤이, “이 늙은 신하가 멀리 바다를 건너와 성군께 투항했으니, 원컨대 그 위엄을 빌려 역적 아들을 처단하고자 하나이다.”고 요청했다.…
    #견훤 #박영규 #정윤 #왕무 #장군 #술희 #천안부 #삼군 #일선군 #신검 #일리천 #대상 #견권 #박술희 #황보금산 #원윤 #강유영 #지천군 #대장군 #능달 #기언 #한순명 #흔악 #정조 #영직 #광세 #김철 #홍유 #박수경 #원보 #연주 #훤량 #보천군 #삼순 #준량 #영유 #길강충 #흔계 #명주 #대광 #왕순식 #긍준 #왕렴 #왕예 #인일 #유금필 #관무 #관헌 #흑수 #달고 #철륵 #우천군 #정순 #애진 #천무군 #종희 #간천군 #김극종 #조간 #중군 #공훤 #능필 #왕함윤 #후백제 #좌장군 #효봉 #덕술 #애술 #명길 #흔강 #견달 #은술 #금식 #우봉 #황산군 #탄령 #마성 #청주성주 #양검 #광주성주 #용검 #부달 #능환 #진주 #황산 #위봉루 #정계 #계백료서 #배현경 #광흥사 #현성사 #미륵사 #내천왕사 #연산현 #개태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태조
    태조 26년(943) 계묘년
    태조 26년(943) 계묘년
    26년 여름 4월 ○ 왕이 내전(內殿)으로 나가 대광(大匡) 박술희(朴述希)를 부른 다음 친히 「훈요(訓要)」 훈요 태조 25년(942)에 왕건 자신이 지어 자손들을 훈계한 「신서훈요10조(信書訓要十條)」를 말한다. 구성은 서론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신…
    #내전 #대광 #박술희 #훈요 #순 #역산 #요 #고조 #패택 #훈요」 #도선 #단주 #요임금 #거란 #서경 #연등회 #팔관회 #차현 #공주 #금강 #잡척 #양민 #주공 #성왕 #재신 #염상 #왕규 #박수문 #문제 #왕무 #신덕전 #학사 #김악 #신성 #태조 #송악 #현릉 #원명 #광열 #대정 #장효 #인용 #용열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혜종
    혜종 총서
    혜종 총서
    혜종인덕명효선현의공대왕(惠宗仁德明孝宣顯義恭大王)은 이름이 왕무(王武)이고 자가 승건(承乾)이며, 태조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장화왕후(莊和王后) 오씨(吳氏)이다. 후량(後梁) 건화(乾化) 2년 임신년(912)에 탄생하여 태조 4년(921) 정윤(正胤)(태자)으로 …
    #혜종인덕명효선현의공대왕 #왕무 #승건 #태조 #장화왕후 #후량 #건화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태조
    태조 4년(921) 신사년
    태조 4년(921) 신사년
    四年 春二月 甲子 黑水酋長高子羅, 率百七十人來投. 壬申 達姑狄 狄 『고려사』 모든 판본의 원문이 ‘은(犾)’자이나, 『고려사절요』 권1, 태조 4년 2월의 원문이 ‘적(狄)’자이며 뜻으로도 후자가 옳다. 百七十一人侵新羅, 道由登州, 將軍堅權邀擊大敗之, 匹馬無還…
    #흑수 #고자라 #달고적 #등주 #견권 #아어간 #낭중 #찬행 #오관산 #대흥사 #이언 #서경 #왕무 #정윤 #후백제 #궁창 #명권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태조
    태조 15년(932) 임진년
    태조 15년(932) 임진년
    十五年 夏五月 甲申 諭群臣曰 “頃完葺西京, 徙民實之, 冀憑地力, 平定三韓, 將都於此. 今者, 民家雌雞化爲雄, 大風官舍頹壞, 夫何災變至此? 昔晋有邪臣, 潜畜異謀, 其家雌雞化爲雄. 卜云, ‘人懷非分, 天垂警戒.’ 不悛其惡, 竟取誅滅. 吳王劉濞之時, 大風壞門拔木. …
    #서경 #이주 #진 #유비 #상서지 #후백제 #공직 #투항 #일모산성 #정윤 #왕무 #견훤 #일길찬 #상귀 #예성강 #염주 #백주 #정주 #저산도 #해군장군 #상애 #대우도 #대광 #만세 #내봉경 #최응 #대상 #왕중유 #후당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태조
    태조 19년(936) 병신년
    태조 19년(936) 병신년
    十九年 春二月 甄萱壻將軍朴英規, 請內附. 夏六月 甄萱請曰, “老臣遠涉滄波, 來投聖化, 願仗威靈, 以誅賊子耳.” 王初欲待時而動, 憐其固請, 乃從之. 先遣正胤武, 將軍述希, 領步騎一萬, 趣天安府. 秋九月 王率三軍, 至天安府合兵, 進…
    #견훤 #박영규 #정윤 #왕무 #장군 #술희 #천안부 #삼군 #일선군 #신검 #일리천 #대상 #견권 #박술희 #황보금산 #원윤 #강유영 #지천군 #대장군 #능달 #기언 #한순명 #흔악 #정조 #영직 #광세 #김철 #홍유 #박수경 #원보 #연주 #훤량 #보천군 #삼순 #준량 #영유 #길강충 #흔계 #명주 #대광 #왕순식 #긍준 #왕렴 #왕예 #인일 #유금필 #관무 #관헌 #흑수 #달고 #철륵 #우천군 #정순 #애진 #천무군 #종희 #간천군 #김극종 #조간 #중군 #공훤 #능필 #왕함윤 #후백제 #좌장군 #효봉 #덕술 #애술 #명길 #흔강 #견달 #은술 #금식 #우봉 #황산군 #탄령 #마성 #청주성주 #양검 #광주성주 #용검 #부달 #능환 #진주 #황산 #위봉루 #정계 #계백료서 #배현경 #광흥사 #현성사 #미륵사 #내천왕사 #연산현 #개태사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태조
    태조 26년(943) 계묘년
    태조 26년(943) 계묘년
    二十六年 夏四月 御內殿, 召大匡朴述希, 親授訓要, 曰 “朕聞, 大舜耕歷山, 終受堯禪, 高帝起沛澤, 遂興漢業. 朕亦起自單平, 謬膺推戴. 夏不畏熱, 冬不避寒, 焦身勞思, 十有九載, 統一三韓, 叨居大寶二十五年, 身已老矣. 第恐後嗣, 縱情肆欲, 敗亂綱紀, 大可憂也. …
    #내전 #대광 #박술희 #훈요 #순 #역산 #요 #고조 #패택 #훈요」 #도선 #단주 #요임금 #거란 #서경 #연등회 #팔관회 #차현 #공주 #금강 #잡척 #양민 #주공 #성왕 #재신 #염상 #왕규 #박수문 #문제 #왕무 #신덕전 #학사 #김악 #신성 #태조 #송악 #현릉 #원명 #광열 #대정 #장효 #인용 #용열
    Quick View View with Viewer
  • 혜종
    혜종 총서
    혜종 총서
    惠宗仁德明孝宣顯義恭大王, 諱武, 字承乾, 太祖長子, 母曰莊和王后吳氏. 後梁乾化二年壬申生, 太祖四年, 立爲正胤, 從討百濟, 奮勇先登, 功爲第一, 二十六年, 五月, 丙午, 太祖薨, 奉遺命卽位.
    #혜종인덕명효선현의공대왕 #왕무 #승건 #태조 #장화왕후 #후량 #건화
    Quick View View with Viewer


First PagePreview Page12Next PageLast Page총 14건


Media Korean Studies
About company | Support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Institutional Admin Page
Media Korean Studies Gyeongin Bldg. B, 4th floor, 445-1 Hoedong-gil, Paju-si, Gyeonggi-do | +82-31-955-9314 | +82-31-955-9310 | [javascript protected email address]
MKS 2022 ver Copyright © Media Korean Studie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