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신(諸臣)하을지(河乙沚)하을지河乙沚하을지(河乙沚)는 진주(晉州) 사람으로 충혜왕 때 과거에 장원급제했다. 공민왕 때 강화만호(江華萬戶)가 되었는데, 왜적의 배가 동(東)․서강(西江)에 집결해 양천(陽川)을 노략질한 후 한양부(漢陽府)까지 침입해 가옥을 불태우고 백성을 살해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
제신(諸臣)하을지(河乙沚)하을지河乙沚河乙沚, 晉州人, 忠惠朝, 擢第一人及第. 恭愍時, 爲江華萬戶, 倭舶集東西江, 寇陽川, 遂至漢陽府, 燒廬舍殺掠人民. 王責乙沚及漢陽尹辛廉不能禦, 並杖配烽卒. 辛禑初, 爲全羅道元帥兼都安撫使, 乙沚無才行, 又有簠簋之誚, 賂權貴得任閫寄, 士林鄙之. 乙沚捕倭一艘, 禑賜衣…
-
백관지(百官志)오부(五部)五部태조 2년에 설치했다.【동․남․서․북․중부의 5부이다】 문종 때 5부의 사(使)는 1명으로 4품 이상, 부사(副使)는 1명으로 5품 이상, 녹사(錄事)는 각 2명으로 갑과권무(甲科權務)로 정했다. 정했다 5부의 녹사는 갑과(甲科)의 유록권무(有祿權務)임이 분명…
-
식화지(食貨志)화폐(貨幣)화폐貨幣【시고市估】화폐 제도는 나라를 다스리는 데 있어 가장 우선해야 할 일이니, 이는 그로써 국가의 재정과 민력(民力)을 넉넉하게 하기 때문이다. 성종 15년(996) 4월. 처음으로 철전(鐵錢)을 사용 철전을 사용 철전은 중국 한나라에서부터 청대에 이르기까지…#화폐 제도 #철전 #3시 #시중 #한언공 #민서 #백성 #문종 #주전도감 #전폐 #종묘 #은병 #화폐 #활구 #송나라 #요나라 #재추 #문무양반 #군인 #해동통보 #태묘 #경성 #주무 #태조 #쇄은 #원나라 #지원보초 #중통보초 #중찬 #행역 #소은병 #5종포 #도당 #5승포 #구리 #동전 #은전 #경시서 #어사대 #지관 #존무사 #안렴사 #명나라 #중랑장 #방사량 #사․농․공․상 #우 #도산 #9부 #추포 #동경 #저폐 #삼사 #도평의사사 #홍복도감 #자섬저화고 #역산 #장산 #금 #주나라 #태공 #9부환법 #한나라 #회자 #보초 #삼한중보 #동국통보 #동국중보 #해동중보 #동해통보 #5종포만 #2승포 #3승포 #은 #동 #저화 #심덕부
-
市估현종 5년(1014) 6월. 삼사(三司)에서, “물가가 폭등해 추포(麤布) 1필의 값이 쌀 8말[斗] 에 해당하게 되었으니, 아무리 풍년 때문이라지만 곡식이 이렇게 값싸서야 어떻게 되겠습니까? 그 경중을 헤아려 가격을 조절하도록 하십시오.”라고 건의하자 왕이 …
-
병지(兵志)병제(兵制)병제兵制1. 2군(二軍) ○ 응양군(鷹揚軍) 응양군 2령으로 편제된 용호군보다 수는 작았지만 응양군은 용호군 보다 상위의 부대로 그 지휘관인 상장군이 2군 6위의 상장군과 대장군이 참여하는 중방(重房)의 의장인 반주(班主)가 되었다. 응양군에는 정3품의 상장군…#2군 #응양군 #용호군 #6위 #좌우위 #보승 #정용 #신호위 #흥위위 #금오위 #역령 #천우위 #상령 #해령 #감문위 #도부외 #의장부 #견예부 #노부 #별호제반 #신기 #신보 #경궁 #정노 #석투 #대각 #철수 #강노 #도탕 #사궁 #발화 #오군 #중군 #병진도지유 #도장교 #오병도지유 #장교도업사 #신기도령 #지유 #좌우경궁도령 #좌우정노도령 #도령 #전군 #후군 #좌군 #우군 #신보도령 #정노도령 #병금관 #낭중 #사 #거란 #광군 #광군사 #좌우군영 #군영 #직원 #장수 #잡역 #방수 #역 #선정전 #열병 #선화문 #해군 #노군 #교위 #선두 #차 #생강 #삼위 #도병마사 #함화문 #채충순 #시정 #성윤 #이향 #중외군사 #정역 #장교 #상사봉어 #박원작 #혁차 #수질노 #뇌등석포 #팔우노 #9도 #위 #명전 #호부 #공전 #주례 #양경 #양로 #서북로병마사 #김해병서 #주진 #서면병마도감사 #수질구궁노 #국자감 #근장 #영 #호군 #중랑장 #낭장 #별장 #산원 #오위 #대정 #정군방정인 #망군정인 #역역 #정인 #천역 #녹관 #추역군 #품종 #5부방리 #영사 #주사 #기관 #유음품관 #천구 #양반 #백정인 #선군별감 #전정연립 #십장 #육십 #중금 #도지 #백갑 #정인호 #진첩 #도감 #동 #궁원 #구사 #시중 #최제안 #병서 #6위군 #장군 #경군 #외군 #2․3품군 #위위시 #노수전 #차노전 #서북로병마소 #서경 #감군 #분사어사 #맹군 #상경 #좌부 #왕총지 #중추 #동반 #남반 #금고 #정기 #좌작 #마군 #선봉마병 #어사대 #병부 #영부 #유음기광군 #경직대상 #동북로 #병마감창사 #수령관 #참지정사 #김원정 #상서병부 #군민 #봉책사 #흥왕사 #봉책군 #사면기광군 #금위군사 #제위 #동교 #동․서계 #방수군 #참외 #전마 #보반 #군반씨족 #성적 #장적 #솜도포 #솜바지 #털모자 #서북면 #정포고 #솜옷 #가죽신 #1품군 #부호장 #병정 #창정 #호정 #식록정 #공수정 #부병정 #부창정 #부호정 #단정 #병역 #궁사 #군장 #양호 #관곽 #대전 #내외군정 #장상 #혜각미 #섭랑장 #차대정 #건명고 #평포 #정포도감 #무관 #문관 #서북면병마사 #유홍 #귀주 #은완접 #소감 #천균노 #봉의 #대영고 #동․북양계 #귀령각 #무반장군 #좌복야 #황중보 #상장군 #대장군 #시신 #어사중승 #김경용 #은쟁반 #동지 #재추 #기병 #회복루 #동반신료 #장경사 #정주 #장사 #마대 #명주 #윤관 #별무반 #문무산관 #이서 #상고 #노비 #진부 #승려 #항마군 #사원 #수원승도 #보승군 #동계병마사 #오연총 #신기군 #재신 #추밀 #점군사 #신보반 #백정 #전지 #악공 #남명문 #도탕반 #타구 #열무 #단봉문 #기군 #보군 #색전 #병마원리 #위신종졸 #한인 #공사노 #원수 #부원수 #도지병마 #군사 #지병마사 #부사 #판관 #군후사 #용약원 #제색원 #병마인리 #제색인리 #중군병마사 #5군 #3군 #조진약 #봉획 #방정 #평전 #남적집착병마사 #정숙첨 #행영원수 #군마 #거란군 #개경 #중방 #태조 #임보 #동남도가발병마사 #공사천예 #생도 #충실도감 #갑곶강 #수전 #삼별초 #최우 #야별초 #별초 #몽골 #신의군 #김준 #최의 #임연 #송송례 #임유무 #사공 #전분 #윤군정 #부위병 #문무산직 #잡색 #변량 #이수심 #수수 #전함병량도감 #동반산직인 #경상 #전라 #충청도 #동계 #군기별감 #경산부 #석주 #밀직부사 #경병 #충청 #교주도 #서반 #시관 #산관 #3관 #사졸 #종군 #산직 #학생 #동정군 #전정 #백금 #윤수 #일본원정군 #도평의사 #판밀직 #김주정 #연등도감 #나유 #나얀대왕 #반란 #공유 #시위군사 #금학양관 #유생 #과거 #조선열 #최백윤 #순마 #상부 #진사 #쿠치 #응방 #내시 #다방 #첨의찬성사 #송분 #숭문관 #선군 #순포 #내승 #조라치 #팔가치 #순군4번 #송악산 #봉획소 #관사 #활 #화살 #창 #행성3소 #제군만호부 #정구 #쌍정 #군호 #토전 #추쇄 #수졸 #정 #다루가치 #순천사 #서북면도원수 #염제신 #충용사위 #위장 #대장 #왜적 #교동 #쿠치4번 #충용위 #충용위3번 #역어 #조강 #적구 #후석 #성중애마 #정군 #서강 #적강 #성문수리오도감 #왜적방어병마판관 #방리병 #전함 #사면도감 #용성 #유탁 #경기도통사 #방리인 #대호 #소호 #동강 #행수유사 #성문도감 #사인 #향리 #궁사노예 #감찰사 #정장 #8위 #경상도 #양광도 #전라도 #강릉도 #삭방도 #서해도 #주현 #존무 #안렴 #체찰 #한산관 #서경만호부 #좌익 #우익 #정예 #정의 #충의 #충성 #신첨 #신성 #십군 #안주만호부 #좌용 #우용 #좌맹 #우맹 #전용 #후용 #전맹 #후맹 #팔군 #의주만호부 #좌정 #우정 #충신 #의용 #사군 #니성만호부 #진평 #진강 #진정 #진원 #강계만호부 #진변 #진성 #진안 #진령 #상만호 #부만호 #애마 #5부 #한량품관 #나주목사 #이진수 #4케식 #군수부 #시직 #문무품관 #도통사 #케식관 #동면 #남면 #서해 #북계 #토지제도 #부병 #양천포 #간관 #우현보 #손무 #오기 #공자 #의용좌우군 #판사 #지사 #5부도총도감 #흥국사 #방리 #방어도감 #도성 #호수 #군정 #체복사 #곽선 #연호군 #별군 #왜구 #우왕 #도순문사 #군목도 #병마사 #대소품관 #한산양반 #재인 #화척 #보병 #평양도 #안주 #익군 #신용군 #신맹군 #8익 #10익 #서경군 #경산 #교주 #5부방리군 #판삼사사 #최영 #행성 #종사관 #창고 #강화 #조민수 #한산군 #초군사 #개성부 #마병 #칼 #백봉 #5부원수 #정요위 #봉수 #백성 #화통도감 #강릉 #삭방 #도당 #군익 #계점원수 #봉익 #천호 #백호 #통주 #인리 #역자 #노 #사노 #두목 #검 #노구 #도끼 #낫 #원수부 #주역』 #헌사 #5도 #수령 #군역 #익 #공부 #전조 #6도도순찰사 #화약 #통헌 #동북계 #잡류 #응양군상호군 #이무 #한량 #보충군 #마암 #제색장인 #궁수 #연호 #품질 #역리 #만호 #군부사 #도목 #대호군 #상호군 #제색공장 #군부 #42도부 #대 #오 #금위 #원나라 #문신 #무신 #근시 #충용 #우달치 #쉬구치 #별보 #오원 #천예 #사문 #사순 #비순위 #대간 #절제사 #동북면 #한 #남북군 #당 #요 #금 #양계 #요나라 #진제 #송나라 #군사제도 #부위 #첨설직 #관찰사 #경기 #3군도총제부 #방사량 #양부 #대성 #6조 #수군 #육군 #호패 #병조 #3위
-
笞刑五○ 10대에는 절장(折杖) 절장 절장법은 5형 가운데 사형(死刑)을 제외한 태형, 장형, 도형, 유형 등 4종의 형벌을 장형으로 환산하여 집행하는 방식을 말한다. 노역형(도형)과 추방형(유형)을 신체형으로 단순화시키는 한편 형량을 대폭 줄여 집행하는 방식이다.…
-
徒刑五○1년은 절장(折杖) 13대에 속죄금은 동(銅) 20근(斤)으로 한다. ○ 1년 반은 절장 15대에 속죄금은 동 30근으로 한다. ○ 2년은 절장 17대에 속죄금은 동 40근으로 한다. ○ 2년 …
-
死刑二○ 교수형[絞刑]의 속죄금은 동(銅) 120근으로 한다. ○ 참형(斬刑)【속죄금은 교수형과 같다.】
-
형법지(刑法志)살상(殺傷)살상殺傷정종(靖宗) 4년(1038) 5월. 동계병마사(東界兵馬使)가, “위계주(威雞州) 위계주 여진족이 귀순했을 때 그들을 안집시키기 위해 설치했던 기미주(羈縻州)의 하나로 보이나 어디인지 확인할 수는 없다.에 거주하는 여진(女眞) 여진 여직(女直)․숙신(肅愼)․말갈…
-
하을지河乙沚하을지(河乙沚)는 진주(晉州) 사람으로 충혜왕 때 과거에 장원급제했다. 공민왕 때 강화만호(江華萬戶)가 되었는데, 왜적의 배가 동(東)․서강(西江)에 집결해 양천(陽川)을 노략질한 후 한양부(漢陽府)까지 침입해 가옥을 불태우고 백성을 살해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
하을지河乙沚河乙沚, 晉州人, 忠惠朝, 擢第一人及第. 恭愍時, 爲江華萬戶, 倭舶集東西江, 寇陽川, 遂至漢陽府, 燒廬舍殺掠人民. 王責乙沚及漢陽尹辛廉不能禦, 並杖配烽卒. 辛禑初, 爲全羅道元帥兼都安撫使, 乙沚無才行, 又有簠簋之誚, 賂權貴得任閫寄, 士林鄙之. 乙沚捕倭一艘, 禑賜衣…
-
五部태조 2년에 설치했다.【동․남․서․북․중부의 5부이다】 문종 때 5부의 사(使)는 1명으로 4품 이상, 부사(副使)는 1명으로 5품 이상, 녹사(錄事)는 각 2명으로 갑과권무(甲科權務)로 정했다. 정했다 5부의 녹사는 갑과(甲科)의 유록권무(有祿權務)임이 분명…
-
화폐貨幣【시고市估】화폐 제도는 나라를 다스리는 데 있어 가장 우선해야 할 일이니, 이는 그로써 국가의 재정과 민력(民力)을 넉넉하게 하기 때문이다. 성종 15년(996) 4월. 처음으로 철전(鐵錢)을 사용 철전을 사용 철전은 중국 한나라에서부터 청대에 이르기까지…
-
市估현종 5년(1014) 6월. 삼사(三司)에서, “물가가 폭등해 추포(麤布) 1필의 값이 쌀 8말[斗] 에 해당하게 되었으니, 아무리 풍년 때문이라지만 곡식이 이렇게 값싸서야 어떻게 되겠습니까? 그 경중을 헤아려 가격을 조절하도록 하십시오.”라고 건의하자 왕이 …
-
병제兵制1. 2군(二軍) ○ 응양군(鷹揚軍) 응양군 2령으로 편제된 용호군보다 수는 작았지만 응양군은 용호군 보다 상위의 부대로 그 지휘관인 상장군이 2군 6위의 상장군과 대장군이 참여하는 중방(重房)의 의장인 반주(班主)가 되었다. 응양군에는 정3품의 상장군…
-
笞刑五○ 10대에는 절장(折杖) 절장 절장법은 5형 가운데 사형(死刑)을 제외한 태형, 장형, 도형, 유형 등 4종의 형벌을 장형으로 환산하여 집행하는 방식을 말한다. 노역형(도형)과 추방형(유형)을 신체형으로 단순화시키는 한편 형량을 대폭 줄여 집행하는 방식이다.…
-
徒刑五○1년은 절장(折杖) 13대에 속죄금은 동(銅) 20근(斤)으로 한다. ○ 1년 반은 절장 15대에 속죄금은 동 30근으로 한다. ○ 2년은 절장 17대에 속죄금은 동 40근으로 한다. ○ 2년 …
-
死刑二○ 교수형[絞刑]의 속죄금은 동(銅) 120근으로 한다. ○ 참형(斬刑)【속죄금은 교수형과 같다.】
-
살상殺傷정종(靖宗) 4년(1038) 5월. 동계병마사(東界兵馬使)가, “위계주(威雞州) 위계주 여진족이 귀순했을 때 그들을 안집시키기 위해 설치했던 기미주(羈縻州)의 하나로 보이나 어디인지 확인할 수는 없다.에 거주하는 여진(女眞) 여진 여직(女直)․숙신(肅愼)․말갈…